뷰페이지

첫 만남·방명록·대화까지…모바일로도 전 세계 생중계한다

첫 만남·방명록·대화까지…모바일로도 전 세계 생중계한다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8-04-22 21:54
업데이트 2018-04-22 23: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핵화 기대감 속 준비 박차

靑 휴일 긴급 최종 점검회의
의전·경호 오늘 3차 회담서 매듭
文대통령 이번 주 회담 준비 올인
남북 24일부터 별도 리허설 진행


청와대 온라인 플랫폼 구축 완료
국민 바람 해시태그 응원릴레이
교황·유엔총장 등 응원 메시지
이미지 확대
수전 손턴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지명자가 22일 인천공항과 김포공항을 통해 입국하고 있다. 한국 측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인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교섭본부장과 만날 예정이다. 연합뉴스
수전 손턴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지명자가 22일 인천공항과 김포공항을 통해 입국하고 있다. 한국 측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인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교섭본부장과 만날 예정이다. 연합뉴스
남북 정상회담을 나흘 앞둔 23일 남북은 판문점에서 ‘경호·의전·보도’ 분야 3차 실무회담을 열어 회담 준비에 필요한 모든 실무 준비에 마침표를 찍는다.
이미지 확대
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이 22일 인천공항과 김포공항을 통해 입국하고 있다. 한국 측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인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교섭본부장과 만날 예정이다. 뉴스1
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이 22일 인천공항과 김포공항을 통해 입국하고 있다. 한국 측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인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교섭본부장과 만날 예정이다. 뉴스1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대면 시점과 방식, 김 위원장의 방남 경로, 김정숙 여사와 김 위원장의 부인 리설주 여사의 동행 여부, 남북 정상 간 핫라인 통화, 공동기자회견 개최 여부가 3차 실무회담에서 판가름 날 전망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22일 “실무 접촉 결과에 따라 남북 고위급 회담을 열지도 결정할 것”이라며 “모든 게 정리되면 고위급 회담을 굳이 열 필요가 없을 텐데 내일 접촉 결과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예정에 없던 남북 정상회담 준비위원회 최종 점검회의를 긴급 소집했다. 전날 북한의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와 핵실험·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중단 선언을 평가하고 정부의 대응 전략을 가다듬기 위해서다.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과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장하성 정책실장, 서훈 국가정보원장, 조명균 통일부 장관이 총출동했다.

문 대통령은 이번 주 대외 활동을 삼가고 수석보좌관회의와 국무회의 등 통상적인 일정만 수행하며 회담 준비에 집중하기로 했다. 정상회담 전 마지막으로 주재하는 23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북한과 미국, 국제사회를 향해 의미 있는 메시지를 던질 것으로 예상된다.

3차 실무회담 이후에는 남북 모두 정상회담 예행연습에 돌입한다. 남측은 회담장인 판문점 평화의집에서 24일 1차 리허설, 26일 최종 리허설을 진행한다.

북측 선발대도 24일이나 25일쯤 남쪽으로 내려와 평화의집에서 남측과 똑같은 방식으로 리허설을 한다. 임 실장은 26일 정상회담 준비 사항을 총괄해 브리핑할 예정이다.

남북 정상의 역사적 만남은 전 세계로 생중계된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김 위원장이 내려오는 장면, 정상 간 만남을 입체적으로 생중계하고 김 위원장의 방명록 서명, 양 정상 간 환담, 회담장 입장과 모두 발언까지 생중계로 전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청와대는 한반도 평화의 메시지가 전 세계로 확산하도록 정상회담 홍보에 집중했다. 세계 곳곳에서 누구나 모바일을 통해 회담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도록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했다. 정상회담에 대한 국민의 바람을 사진과 영상으로 올리는 ‘해시태그’(#) 이벤트와 평화 응원 릴레이 등 온라인 이벤트도 진행하고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등 세계 지도자의 응원 영상 메시지도 속속 도착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8-04-23 4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