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시대의 아픔 비켜서지 않고 예술로 계속 목소리 낼 것”

“시대의 아픔 비켜서지 않고 예술로 계속 목소리 낼 것”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18-05-15 22:16
업데이트 2018-05-15 23: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산 설치 논란 ‘강제징용 노동자상’ 김서경·김운성 조각가 부부

“역사적 사실을 외면하지 않고 명확하게 드러낸 뒤에야 진정한 평화를 만들 수 있잖아요. 저희는 시대적 아픔을 비켜서지 않고 예술을 통해 계속 목소리를 낼 겁니다.”
이미지 확대
‘평화의 소녀상’, ‘강제 징용 노동자상’ 등을 제작한 김서경(왼쪽)·김운성 부부 조각가. 30년차 부부이자 작품 협업자인 이들은 “앞으로도 시대적 아픔을 비켜서지 않고 예술을 통해 계속 목소리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평화의 소녀상’, ‘강제 징용 노동자상’ 등을 제작한 김서경(왼쪽)·김운성 부부 조각가. 30년차 부부이자 작품 협업자인 이들은 “앞으로도 시대적 아픔을 비켜서지 않고 예술을 통해 계속 목소리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15일 서울 용산역 앞 광장에서 만난 김서경(53·여)·김운성(54) 조각가 부부는 최근 부산 동구 초량동 일본총영사관 앞 강제징용 노동자상 설치 논란과 관련해 노동자상 작가로서의 신념을 강조하며 이렇게 말했다.

설치에 난항을 겪고 있는 이번 작품은 이들의 네 번째 강제 징용 노동자상이다.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의뢰로 제작한 첫 노동자상이 2016년 8월 일본 교토 단바망간광산 앞에 세워졌고 지난해 서울과 제주에 연달아 건립됐다.

서경씨는 “이번에 부산에서 이렇게 될 줄 몰랐다”며 지자체가 나서 노동자상 설치를 막는 상황을 안타까워했다. 운성씨도 “새 정부 출범 1년이 지났지만 한·일 위안부 합의는 파기되지 않았고 화해치유재단은 일본에서 받은 돈을 돌려주지 않았다”며 “일본과의 외교 부분에서는 달라진 게 별로 없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부산에서 추진 중인 노동자상은 앞선 동상들과 조금 다른 모습이다. 비어 있던 왼손에는 촛불이 쥐어졌고 표정은 조금 강인해졌다. 서경씨는 용산 노동자상을 가리키며 “광산에서 나오며 햇볕을 가리는 왼손은 한편으로는 과거의 진실이 이제 드러나기 시작한 데 대한 희망을 표현한 것이기도 했다”며 “그런데 일본이나 우리 정부 모두 옛날에 다 정리되지 않았느냐는 식의 똑같은 말을 하니까 (부산 노동자상은) 그에 대한 분노와 의지를 담았다”고 설명했다.

국내외 평화의 소녀상 70여점을 제작한 걸로 유명한 이들은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작품들로 인해 공격을 받기도 한다. 특히 일본 기자들이 집 앞에 수시로 찾아오고 왜곡 보도를 일삼는 일이 많다. 운성씨는 “일본에는 우리가 소녀상을 엄청나게 팔아서 으리으리한 집과 작업실에 산다고 알려져 있다”면서 “그런데 실제로 와 보니 농가주택과 작업실인 작은 비닐하우스뿐이라 옆에는 커다란 비닐하우스를 찍어서 우리 거라고 소개한다”며 웃었다.

소녀상으로 유명해진 뒤 실제로 수입이 많아지지 않았냐는 질문에 서경씨가 “옛날보다는 많아졌다”고 웃자 운성씨가 “늘어난 수입만큼 기증도 많이 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경씨는 “소녀상이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면서 예술의 힘, 문화의 힘을 많이 느꼈다”며 “정의기억재단에 기부하는 것 외에 한베평화재단에 베트남 피에타상을,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에 두 할머님 조각상을 만들어 기증한 것 등이 그런 활동”이라고 설명했다. 운성씨는 “이것도 마찬가지”라며 작은 선물을 건넸다. 앞면에는 ‘2018 04 27 남북정상회담기념’이라는 글귀와 함께 태극기 도안이, 뒷면에는 북한 인공기 도안이 그려진 열쇠 모양 기념품을 가리키며 그는 “남북 화해로 평화를 열자는 의미로 만들어 주변에 나눠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작업을 할 때는 의견이 갈릴 때도 많다. 서경씨는 “개인 작품을 보면 둘의 차이가 뚜렷이 나타나지만 공공작업을 할 때는 서로 잘하는 부분을 인정하고 되도록 존중해 주면서 마음을 모아 작업한다”고 말했다.

이들의 계획에는 앞으로 할 일이 꽉 차 있다. 운성씨는 “내년 3·1운동 100주년에 맞춰 100년간의 여성 운동가들 이야기를 담아낼 항일여성상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경씨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분들이 이제 28명만 살아 계신데 가해자는 피해자가 살아 계실 때 진정한 사과를 해야 한다”며 “강제 징용 문제도 마찬가지로 일본 정부의 진정한 반성과 사과를 끌어낼 수 있도록 노동자상 제작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8-05-16 25면

많이 본 뉴스

22대 국회에 바라는 것은?
선거 뒤 국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관심 가져야 할 사안은 무엇일까요.
경기 활성화
복지정책 강화
사회 갈등 완화
의료 공백 해결
정치 개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