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말빛 발견] 달라진 자음 이름/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달라진 자음 이름/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8-05-16 20:56
업데이트 2018-05-16 21: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지난 4월 27일 판문점 평화의집 1층 접견실. 벽에는 김중만 작가의 ‘천년의 동행, 그 시작’이 걸렸다. ‘여초 김응현의 훈민정음’을 재해석한 작품이다.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로 시작되는 작품을 설명하기 위해 문재인 대통령이 일어섰다.

“‘사맛디’의 ‘ㅁ’(미음)은 문재인의 미음, ‘맹가노니’의 ‘ㄱ’(기역)은 김 위원장의 기역입니다.”

세부적인 데까지 마음을 썼다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고마움을 표시했다. 한데 옛말들이야 그렇다 치고 ‘기역’ 역시 김 위원장에겐 조금 낯설었을 것이다. 북한에서는 ‘ㄱ’을 ‘기역’이라 하지 않고 ‘기윽’이라고 한다.

같은 논리에서 ‘디귿’은 ‘디?’, ‘시옷’은 ‘시읏’이라고 한다. 북한에서는 ‘니은, 리을, 미음, 비읍…’처럼 해당 자음이 ‘ㅣ’와 ‘ㅡ’가 결합된 형태로 모두 바뀌었다. ‘기윽’, ‘디?’, ‘시읏’이 ‘논리적’이라고 봤다.

‘기역’, ‘디귿’, ‘시옷’이란 명칭은 1527년 최세진의 ‘훈몽자회’에서 유래한다. 이 책은 어린이용 한자 학습서였다. 여기에 한글 사용법에 대한 설명과 자음, 모음의 이름도 기록돼 있다. 한자로 ‘기역(基役), 니은(尼隱), 디귿(池[末])…시옷(時[衣])…’이라고 적었다. 한자에 ‘윽’이 없어 대신 ‘역’(役) 자를 가져왔다. ‘귿’(끝)과 ‘옷’은 뜻으로 읽게 했다. 우리는 익숙한 전통을 존중했고, 북한은 논리 쪽에 무게를 뒀다.
2018-05-17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