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벼랑 끝 북·미 살린 ‘운전자’ 文대통령

벼랑 끝 북·미 살린 ‘운전자’ 文대통령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8-05-27 22:24
업데이트 2018-05-27 23: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트럼프와 김정은 잇따라 만나 북·미 진정성 전달… 불신 해소

“文대통령, 그물에 낀 공 빼냈다”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열린 5·26 남북 정상회담에서 활짝 웃고 있다. 판문점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열린 5·26 남북 정상회담에서 활짝 웃고 있다.
판문점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한반도 문제를 당사국인 한국이 주도해 풀겠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의지가 결국 한반도에 드리운 난기류를 걷어냈다. 문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기 위해 26일 판문점으로 달려갔고, 4·27 판문점 회담 이후 29일 만에 상봉한 남북 정상은 2시간가량 머리를 맞댄 끝에 위태로웠던 북·미 정상회담의 불씨를 살려냈다.

김 위원장과의 두 번째 남북 정상회담은 한국의 중재자 역할에 대한 미국의 회의감을 상당 부분 불식시킬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4일 6·12 북·미 정상회담을 전격 취소한다는 서한을 김 위원장에 발송하면서 한국과 상의하지 않았다. 때문에 일부에선 미국이 북한을 움직일 지렛대로서 한국의 효용 가치가 떨어졌다고 간주한 게 아니냐는 분석마저 나왔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회담 취소 소식이 알려진 직후 문 대통령은 곧바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멤버들을 소집해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 온 당사자들의 진심은 변하지 않았다. 정상 간 보다 직접적이고 긴밀한 대화로 해결해 가기를 기대한다”는 입장을 밝히며 ‘운전대’를 놓지 않았다.

그러자 북한은 다음날인 25일 “아무 때나 어떤 방식으로든 마주앉아 문제를 풀어 나갈 용의가 있다”는 내용의 담화를 냈고, 트럼프 대통령도 전향적 입장으로 돌아섰다. 문 대통령은 두 번째 남북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비핵화 의지를 직접 확인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달함으로써 서서히 풀리기 시작한 북·미 관계에 훈풍을 불어넣었다.

일각에서는 두 번째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한국이 단순한 중재역에서 벗어나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이끄는 ‘견인차’이자 ‘추동자’로 역할을 넓혔다는 평가도 나온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문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 직후 트럼프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북·미 정상회담 취소 선언에 기습을 당했지만 새로운 해법으로 난관에 대처했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의 대선 캠프에서 외교 정책 고문을 지낸 김준형 한동대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을 취소한 뒤 협상은 그물망에 공이 낀 테니스 경기처럼 중단된 상태였다”며 “그물에서 공을 꺼낼 수 있는 사람은 문재인 대통령뿐이다. 그는 양측을 연결할 수 있는 데다 이 문제를 놓고 자존심을 세울 필요가 없기 때문”이라고 WP에 밝혔다.

김연철 통일연구원장은 “미국은 북한의 비핵화 의지에 의구심을 제기했고 북한은 미국의 체제보장 의지를 불신했는데, 이러한 양측의 우려와 불신을 문 대통령이 미국 방문과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해소했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남북 관계의 강화를 바탕으로 북·미 관계를 견인하고 남·북·미 3자 종전 선언을 추진하며 목표한 ‘완전한 평화’를 향해 나아간다는 구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다음달 1일 개최될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는 6·15 남북 공동행사 개최와 남북 철도 연결 사업, 산림 협력 등 남북 간 협력 사업들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정성장 세종연구소 통일전략연구실장은 “향후 남북 관계는 북·미 정상회담 결과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면서 “남북 관계의 안정적 발전을 위해서는 다음달 12일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2018-05-28 3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