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데스크 시각] ‘접경지’ 아리랑/송한수 부국장 겸 사회2부장

[데스크 시각] ‘접경지’ 아리랑/송한수 부국장 겸 사회2부장

입력 2018-06-04 22:46
업데이트 2018-06-05 00: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임진강 맑은 물은/ 흘러흘러 내리고/ 뭇새들 자유로이/ 넘나들며 날건만/내 고향 남쪽 땅/ 가고파도 못 가니/ 임진강 흐름아/ 원한 싣고 흐르느냐// 강 건너 갈밭에선/ 갈새만 슬피 울고/메마른 들판에선/ 풀뿌리를 캐건만/ 협동벌 이삭바다/ 물결 우에 춤추니/ 임진강 흐름을/ 가르지는 못하리라’
이미지 확대
송한수 부국장 겸 사회2부장
송한수 부국장 겸 사회2부장
1957년 생긴 노랫가락이다. 황해북도 개성시 장풍군 석둔리를 무대로 찍었다는 가곡 영상물 막바지에선 한복을 입은 고운 아낙네가 임진강 얕은 물결을 헤치고 걷는다. 새떼를 따라 임진강을 건너는 발걸음도 꽤 가볍다. 남쪽 땅을 밟았는지 알리진 않는다. 아낙은 그러나 그윽한 웃음을 짓는다. 새하얀 새떼도 반기는 듯한 날갯짓 장면을 연출한다.

11년 뒤인 1968년 일본에서 ‘임진강’(イムジン河)은 한층 속을 태우는 애절한 가사를 덧대 제법 인기를 쌓는다. ‘누가 우리 조국을/ 두 개로 갈라놓았는가/누가 우리 조국을 갈라놓았는가’(誰が祖?を 二つに分けてしまったの/ 誰が祖?を 分けてしまったの)라고 외친다.

접경 지역이란 알알한 말을 다시금 떠올린다. ‘국경 아닌 국경’으로 불릴 만해서다. 엊그제 38선을 넘어 강원 인제군 서화면 서흥리 대암산을 올랐다. 민간인 통제 구역이다. 6·25전쟁 뒤 38선을 대체한 ‘휴전선’(MDL·군사분계선) 아래 남방한계선 2㎞에 이르는 비무장지대(DMZ)와 함께 DMZ 일원으로 불린다. 전쟁 때 대치 국면이던 1951년 오뉴월 남과 북이 38선 아래위로 땅을 한 뼘이라도 더 차지하려 다투던 허리춤에 해당하니 오죽 많이 애먼 주검을 낳았을까. 이웃한 양구군 해안면 현리에 자리한 펀치볼(Punch Bowl·미국 종군기자가 화채 그릇처럼 생겼다며 붙인 이름)만 봐도 고개가 끄덕여질 수밖에 없다. 초입부터 당부하는 말이 쏟아진다. 한사코 탐방로를 벗어나지 말란다. 6·25 때 파묻은 지뢰, 불발탄 때문이다.

해설사 덕분에 제비동지꽃, 닻꽃, 박새, 바람꽃 군락지 등 희귀 식물을 실컷 구경할 수 있었다. 꼭대기 살짝 못 미쳐 해발 1280m 즈음에선 용늪을 맞는다. ‘지구의 숨통’으로 불리는 습지가 살포시 앉았다. 해설사는 “대개 안개에 가리기 십상인데, 운수 좋은 줄 알아야 한다”며 웃었다. 오늘처럼 맑은 날이면 멀리 금강산까지 얼굴을 삐쭉 내민다. 남북 사람들이 서로 오가지 못한 대신 새로운 생명들을 탄생시켰다는 이야기다.

정범진 사단법인 한국DMZ평화생명동산 부이사장은 “4·27 판문점 선언 이후 접경 지역에 대해 쏠리는 관심을 잘 생각해야 한다”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평화협정 체결, 평화체제 수립을 놓고 낙관적인 전망이 대세를 이루지만, 정작 미래 남북한 사회상에 얽힌 논의는 찾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어 “오늘날 남과 북은 나름대로 문제점을 안고 있다”면서 “바람직한 통일 미래를 만들기 위해선 절제, 순환, 배려와 공존, 공경, 그리고 평화를 바탕으로 한 녹색공동체를 일구는 게 좋다고 본다”고 되뇌었다.

갈라지는 아픔을 치유하는 일을 넘어 기회로 삼자는 게 DMZ 평화운동이다. 전쟁, 대결, 증오, 살상이란 이미지를 짙게 풍기는 DMZ를 평화, 생명, 교류, 협력의 무대로 바꿔야 한다.

DMZ 일원 접경 지역은 이런 역사를 일구는 데 맨 앞에 서도록 옷소매를 걷어붙일 수 있다. 어쩌면 단절을 뜻하는 접경 지역이 없는 세상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라도 그렇다. 만나지 못할 핏줄은 없다. 뚫지 못할 어려움도 없다.

DMZ는 우리들에게 불행한 역사만 물려주진 않았다.

onekor@seoul.co.kr
2018-06-05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