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PMI “전자담배 덜 해롭다” 식약처 “증거 없다”

PMI “전자담배 덜 해롭다” 식약처 “증거 없다”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18-06-18 17:46
업데이트 2018-06-19 00: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궐련형 전자담배 유해 논란 2R

궐련형 전자담배의 유해성을 둘러싼 논란이 2차전에 돌입했다. ‘아이코스’를 생산하는 필립모리스가 “전자담배가 일반 담배 못지않게 해롭다”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최근 발표를 정면으로 반박하는 임상연구 결과를 내놓은 것이다. 필립모리스 측은 “아이코스로 전환한 사용자들이 일반 담배 흡연자에 비해 질병 발병 위험이 줄어들었다”고 주장했지만, 식약처는 “궐련형 전자담배가 덜 해롭다는 증거는 없다”며 유해성을 재차 강조했다. 정부의 전자담배 경고 그림 부착에 대해서도 담배 업계가 반발하고 있어 궐련형 전자담배의 유해성 공방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아이코스 임상연구 결과 발표에서 한국필립모리스 관계자가 일반 담배와 아이코스를 비교 실험한 필터 패드를 공개하고 있다. 뉴스1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아이코스 임상연구 결과 발표에서 한국필립모리스 관계자가 일반 담배와 아이코스를 비교 실험한 필터 패드를 공개하고 있다.
뉴스1
필립모리스인터내셔널(PMI)은 18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 서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최근 미국에서 성인 흡연자 98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대규모 임상연구 결과 인체에 대한 위해성 감소를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PMI 관계자는 “일반 담배 흡연자 488명과 아이코스로 바꾼 흡연자 496명을 대상으로 6개월 동안 심혈관 질환과 암, 호흡기 질환 등 8가지 주요 임상위험 지표를 평가한 결과, 아이코스 전환자들은 8가지 신체평가 지표가 모두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또 3개월 동안 유해 물질의 인체 노출에 대해 연구한 결과, 암 발병의 원인이 되는 ‘Total NNAL’ 물질이 일반 담배를 피울 때보다 43.5% 줄어드는 등 15개 유해 물질에 대한 노출이 금연자의 95% 수준으로 대폭 감소했다는 것이 PMI의 설명이다.

PMI는 이번 연구결과를 지난 8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한 데 이어 조만간 식약처 등 국내 관련 부처에도 낼 예정이다. 아울러 한국필립모리스는 식약처 조사 결과에도 이의를 제기했다.

앞서 식약처는 지난 7일 아이코스, 글로, 릴 등 국내에서 판매하고 있는 궐련형 전자담배를 분석한 결과, 궐련형 전자담배에서 1급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는 포름알데히드, 벤젠 등 5가지 성분이 검출됐으며, 이 중 아이코스와 릴 등 2개 제품에서는 일반 담배보다 타르 함유량이 높게 검출됐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한국필립모리스 측은 식약청 조사에 대해 “궐련형 전자담배의 증기에 포함된 유해 성분 9종의 함유량이 일반 담배에 비해 평균 90% 적으며, 타르 수치는 잔여물의 단순 무게(㎎)이므로 독성 물질과 그렇지 않은 잔여물이 어떻게 구성돼 있는지 보여 주지 못한다”면서 “양이 아니라 구성 성분 비교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식약처 관계자는 이날 “우리가 진행했던 연구는 독일, 중국, 일본 등 전 세계 연구기관에서 진행했던 검사법과 동일한 검사법”이라며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아 세계적으로 사용하는 국제공인분석법(ISO)과 헬스캐나다(HC) 검사법을 사용했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고 본다”고 반박했다. 또 “발표 당시에도 강조했듯이 궐련형 전자담배가 덜 해롭다는 증거는 없다는 것이 세계보건기구(WHO)와 우리의 공통된 입장”이라며 “구체적인 필립모리스의 입장과 연구결과는 자료를 받아 봐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8-06-19 2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