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일제 185t 콘크리트 제거에만 3년…최장기 보수 ‘새 역사’

일제 185t 콘크리트 제거에만 3년…최장기 보수 ‘새 역사’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8-06-20 22:52
업데이트 2018-06-20 23: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민 곁에 돌아온 미륵사지석탑

230억 투입, 숭례문 이어 두번째
옛 부재 81% 다시 써 원형 보존
정치적 ‘최악의 복원’ 동탑과 동거
이미지 확대
국내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오래된 석탑인 익산 미륵사지석탑이 20년간의 수리 작업을 끝내고 제 모습을 드러냈다. 왼쪽은 일제가 콘크리트를 덧씌우기 전인 1910년 당시의 모습, 오른쪽은 수리를 마친 모습이다.  문화재청 제공·익산 연합뉴스
국내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오래된 석탑인 익산 미륵사지석탑이 20년간의 수리 작업을 끝내고 제 모습을 드러냈다. 왼쪽은 일제가 콘크리트를 덧씌우기 전인 1910년 당시의 모습, 오른쪽은 수리를 마친 모습이다.
문화재청 제공·익산 연합뉴스
20년 만에 국민 곁으로 돌아온 익산 미륵사지석탑(국보 제11호)은 단일 문화재로는 최장 기간 체계적인 수리가 진행된 사례로 꼽힌다. 1998년부터 지금까지 투입된 사업비만 230억원이다. 숭례문 복원(250억원)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1998년 구조 안전진단 결과 콘크리트가 노후되고, 구조적으로 불안정하다는 판단에 따라 해체·수리가 결정됐다. 2001년에 시작한 석탑 해체 작업에만 10년이 걸렸다. 특히 일제가 석탑을 보수할 때 쓴 콘크리트를 떼어 내는 데 3년이 걸렸다. 정을 이용해 일일이 콘크리트를 긁어냈고, 미세하게 남은 콘크리트는 치과에서 사용하는 기계로 걷어 냈다. 해체 당시 나온 콘크리트만 185t에 달한다.

높이 14.5m의 6층 탑으로 새롭게 모습을 드러낸 석탑은 원래 25m 높이로 추정된다. 18세기 기행문 ‘와유록’에는 미륵사지 석탑이 7층까지 남아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를 두고 학계에서 탑을 몇 층으로 복원할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벌어졌었다. 김현용 국립문화재연구소 연구사는 “해체 조사 결과 7층 위로 부재(탑 재료)가 남지 않은 데다 문헌에서도 해당 재료에 대한 자료를 찾을 수 없었다”면서 “탑에 새로운 재료를 올리면 옛 부재가 하중을 견디기 어렵다는 판단에 따라 무리하게 복원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2013~14년 보수공사 및 보존 처리를 한 이후 실제적인 탑 조립은 2015~17년에 진행했다. 연구소는 석탑의 원형과 역사성을 최대한 보존하기 위해 원래의 부재를 최대한 재사용했다. 옛 부재 중 81%를 다시 썼고, 원래 부재와 가장 유사한 황등석(익산에서 나는 화강암) 등을 새 부재로 충당했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이번 수리 작업에 대해 석탑 문화재 복원의 모범 사례라고 자평했다. 국제 기준에 따라 원재료와 기법을 최대한 보존하고 부족한 부분은 현대 기술로 보강했기 때문이다. 한편 최악의 복원 사례로 꼽히는 동탑과 마주하게 된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일고 있다. 동탑 복원은 1990년대 초 전문가들의 반대를 무시하고 정치적 목적에 따라 결정됐다. 2004년 유홍준 당시 문화재청장이 “20세기 한국 문화재 복원의 최악의 사례”라며 강도 높게 비판한 것으로 전해진다. 복원 이후 20년이 지났지만 이를 보는 시선은 여전히 곱지 않다.

2009년 미륵사지석탑의 해체 조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1층 내부 심주석 상단에서 사리장엄구가 발견되기도 했다. 얇은 금판에 글자를 음각한 금제사리봉영기 덕에 미륵사 창건 배경과 발원자, 사리 봉영 시기(639년) 등이 밝혀졌다. 당시 발견된 사리장엄구 유물 1만여점 중에서 복제한 사리호, 금제사리봉영기, 유리구슬 등은 원래 있었던 장소인 심주석 상단에 넣었다. 연구소는 다음달 말 주변 정비를 시작한다. 준공식은 내년 3월에 열린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8-06-21 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