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말빛 발견] 죽음을 가리키는 말/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죽음을 가리키는 말/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8-06-27 23:04
업데이트 2018-06-28 01: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죽었다’, ‘사망하다’는 감정이나 배려 없이 죽음을 알린다. 죽은 이와 별 관계가 없을 때 주로 쓴다. 어떤 형태로든 관계가 있다면 ‘돌아가시다’, ‘작고하다’, ‘운명하다’, ‘영면하다’처럼 둘러서 말한다.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운명하다’는 ‘목숨이 끊어지다’, ‘영면하다’는 ‘영원히 잠든다’는 의미를 지녔다. 비유적인 ‘영면하다’가 더 완곡하게 들린다. ‘작고하다’는 ‘고인이 됐다’는 뜻으로 ‘돌아가시다’처럼 죽은 이를 높인다.

‘별세’도 자주 보이는 높임말이다. 신문 부음란에도 흔하다. 사전적 의미는 ‘윗사람이 세상을 떠남’이다. ‘궂기다’도 ‘윗사람이 죽다’는 말이지만, 흔치는 않다.

‘별세’ 다음에는 ‘타계’가 낯익게 등장한다. ‘인간계가 아니라 다른 세계로 간다’는 뜻이다. 국어사전에는 ‘귀인의 죽음을 이르는 말’이라는 설명이 있다. 예전의 우리는 귀인이 죽었을 때 이렇게 표현한 적이 있다. ‘서거’는 ‘죽어서 세상을 떠남’이라는 뜻이지만, ‘타계’보다 더 높이는 말이 됐다. 대통령이나 교황 같은 이들이 죽었을 때 주로 ‘서거’라고 한다.

특정인의 죽음은 모두에게 같지 않다. 사람마다 그의 죽음을 다르게 말한다. 누구에게는 죽음이거나 사망이고, 누구에게는 별세, 누구에게는 타계, 누구에게는 서거다. 김종필 전 총리의 죽음도 이렇게 다 달랐다.

언론의 눈은 어디에 있어야 했을까. 언론은 주로 별세, 타계라고 했다.

wlee@seoul.co.kr
2018-06-28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