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시간의 탄생

[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시간의 탄생

입력 2018-07-31 17:36
업데이트 2018-07-31 17: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로베르 들로네, ‘에펠탑’ 또는 ‘샹드마르스, 붉은 탑’, 1910~1914년(160.7x128.6㎝, 아트 인스티튜트 오브 시카고,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로베르 들로네, ‘에펠탑’ 또는 ‘샹드마르스, 붉은 탑’, 1910~1914년(160.7x128.6㎝, 아트 인스티튜트 오브 시카고,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19세기 말까지 사람들은 단일한 시간에 따라 살지 않았다. 농촌 사람들은 해의 위치를 보고 대강의 때를 가늠했고, 마을 종탑에서 울려 퍼지는 종소리가 시간의 유일한 기준이었다.

한국에서도 타종으로 시간을 알렸다. 특히 조선 시대 기상청인 서운관의 관리는 물시계를 보고 일정한 간격으로 종을 쳐야 했다.

단일한 시간이 필요하게 된 것은 철도의 등장 때문이었다. 지역마다 제각각 다른 시간은 철도의 효율성을 저하시켰고, 철도회사의 이익을 갉아먹었다. 이 때문에 정부보다도 철도회사가 표준시 수립에 앞장섰다. 영국은 1855년, 미국은 1883년에 표준시를 채택했다. 프랑스 철도는 자존심을 내세워 1890년대까지 그리니치 시간보다 9분 21초가 빠른 파리 시간을 사용했다.

전 세계적으로 시간을 단일화해야겠다는 생각은 1880년대에 대두했다. 무선전신이 발명되면서 지구 곳곳에서 발생하는 일을 그 즉시 인식하게 됐고, 지구적 시간을 확정하는 일이 과제로 떠오른 것이다.

1912년 프랑스 파리에서 국제시간회의가 개최됐다. 참석한 사람들은 정확한 시간을 정의하고, 그것을 세계로 전송하는 방식을 논의했다.

1913년 7월 1일 오전 10시 에펠탑이 전 세계를 향해 최초의 시보를 발신했다. 에펠탑은 파리 천문대의 시간을 받아 전 세계에 있는 8군데 기지국으로 전송했다. 인류는 좋든 싫든 단일한 시간으로 휩쓸려 들어갔다.

이 시기에 활동했던 마르셀 프루스트, 제임스 조이스 같은 작가가 왜 그렇게 시간의 흐름이라는 문제에 집착했는지 이해가 간다.

미술에서도 이 시기에 커다란 변혁이 일어났다. “무엇을 그렸는가?” 하는 지시 대상이 사라지고 선·면·색으로만 이루어진 추상미술이 등장하는 것이다.

추상미술의 선구자 가운데 한 사람인 프랑스 화가 로베르 들로네가 그린 ‘에펠탑’ 또는 ‘샹드마르스, 붉은 탑’이라 부르는 그림이다. 입체파에서 추상으로 넘어가는 단계를 볼 수 있다.

미술평론가
2018-08-01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