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특파원 칼럼] 트럼프의 위기가 우리의 기회다/한준규 워싱턴 특파원

[특파원 칼럼] 트럼프의 위기가 우리의 기회다/한준규 워싱턴 특파원

한준규 기자
입력 2018-09-16 17:28
업데이트 2018-09-16 17: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대 정치적 위기를 맞았다. 백악관의 난맥상을 폭로한 워터게이트 특종 기자인 워싱턴포스트 부편집인 밥 우드워드의 책 ‘공포: 백악관의 트럼프’와 트럼프 정부 내 저항 세력을 자처하는 고위 관리의 뉴욕타임스 익명 기고가 ‘결정타’였다.
이미지 확대
한준규 사회2부장
한준규 사회2부장
여기에 가장 믿었던 트럼프 대선캠프 선대본부장인 폴 매너포트가 로버트 뮬러 특검에 협조하기로 하면서 ‘러시아 스캔들’까지 갈 길 바쁜 트럼프 대통령의 발목을 잡는 분위기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우드워드의 ‘공포’가 ‘사기·속임수’, ‘가짜뉴스’라고 깎아내리고, ‘공포’ 속에 등장하는 게리 콘 전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과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 등 참모진은 ‘책의 내용이 부정확하다’며 후폭풍 차단에 나섰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이 급락하는 등 후폭풍이 현실화하고 있다. 미 여론조사 전문 사이트인 리얼클리어폴리틱스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최근 2주간 지지율 평균치는 40.6%를 기록했다. CNN 조사에서는 37%까지 떨어졌다. 지난달 28일 기준 평균치가 43.7%였던 것과 비교하면 2주 사이에 3.1% 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자신의 재선 풍향계가 될 수 있는 오는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과 백악관은 비상이 걸렸다. 하지만 우드워드의 ‘공포’에 쏠린 여론의 시선을 돌릴 만한 마땅한 ‘카드’가 없다. 이런 미국의 정치 상황이 북·미 협상의 불씨를 댕기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위기’가 한반도 평화 정착의 ‘기회’로 변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화해’의 손짓을 하고 있다. 지난 9일 자신의 트위터에 북한이 9·9절 열병식에 핵미사일을 등장시키지 않은 것을 거론하며 “고맙다, 김 위원장”이라고 썼다. 그는 “우리 둘은 모두가 틀렸다는 걸 증명할 것”이라고 했고, “서로 좋아하는 두 사람의 대화처럼 좋은 것은 없다”고도 했다. 7일에는 ‘(김 위원장이) 대단히 멋지다’고, 6일 유세에서는 “나는 그를 좋아하고, 그는 나를 좋아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도 핵·경제 병진노선을 버리고 사회주의 ‘경제발전’ 총력 노선을 채택했지만, 북·미 관계가 풀리지 않으면서 답답하기는 마찬가지다. 북·중 밀착으로 중국이 뒷문으로 북한을 지원하는 분위기지만, 그 정도로는 원하는 경제 발전을 이룰 수 없다. 북한 군부의 불만을 누르고 핵포기 선언을 한 지 3개월여 동안 허송세월을 한 김 위원장도 비핵화 협상을 통한 종전선언과 대북 제재 완화, 북·미 관계 정상화가 절실하다.

그래서 북·미 모두가 18~20일 평양에서 열리는 남북 정상회담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한국 정부도 좋은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북·미 양측을 바쁘게 오가면서 ‘조율’에 나서고 있다. 특히 북·미 간 종전선언과 구체적 비핵화 행동에 대한 눈높이 맞추기에 ‘공’을 들이며 한반도의 평화 정착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렇게 남·북·미 정상의 이해관계가 정확하게 일치한다. 이런 절호의 기회를 놓친다면 모두에게, 특히 ‘전쟁의 불안’을 안고 사는 우리에게 큰 불행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한국 정치권은 ‘당리당략’에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며 최고의 기회에 헛발질을 하는 모습이다. 한반도의 평화 정착과 국민의 안전을 위한 ‘큰길’에 내 자리가 뒤면 어떻고, 내 모습이 카메라에 안 잡히면 어떤가.

대한민국 모두가 힘을 모으고 집중해도 쉽지 않은 것이 한반도의 비핵화요, 영구적 평화 정착이다. 정치권에 당부하고 싶다. 선거철 때마다 쏟아냈던 구호처럼 오로지 ‘국민’만 쳐다보라고 말이다.

hihi@seoul.co.kr
2018-09-17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