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2018 서울미래컨퍼런스] “인구 감소 대비한다면 위기 아닌 기회”

[2018 서울미래컨퍼런스] “인구 감소 대비한다면 위기 아닌 기회”

최선을 기자
입력 2018-10-18 22:18
업데이트 2018-10-18 23: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영태 교수 ‘인구로 보는 미래’

2020년 출생아·2023년 대학 입학생 급감
“비혼·가구 축소 등 인구 변동 관심가져야”
이미지 확대
조영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조영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인구를 보는 시각을 바꿔서 다가오는 미래를 기회로 삼아야 합니다. 판단의 기준을 미래에 놓고, 과거의 관행에서 벗어나고, 인구 변동에 관심을 가지면 미래가 보일 겁니다.”
이미지 확대
18일 ‘2018 서울미래컨퍼런스’에서 조영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인구 감소라는 정해진 미래에 충실히 대비한다면 위기가 아닌 기회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우리 사회에 저출산 고령화는 이미 ‘미래’가 아닌 ‘현재’의 문제가 됐다. 지난해 출생아 수가 35만명대로 추락하면서 합계출산율(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은 사상 최저인 1.05명으로 떨어졌다.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 비중은 14%를 넘어서 본격 ‘고령 사회’에 접어들었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이 멈춰 어두운 미래가 도래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조 교수는 ‘관점을 바꾸자’고 제안했다. 향후 시장 규모가 물리적으로 더 커질 수 없는 것은 맞지만 기업도 개인도 미래 시장에서 찾을 수 있는 기회들이 반드시 존재한다는 주장이다. 미국 텍사스대에서 인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조 교수는 국내의 대표적인 인구학자다. 조 교수는 “저출산 이야기가 2002년부터 나왔는데 그때 태어난 아이들이 현재 고등학생이라 경제인구가 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까진 실생활에서 느끼지 못하는 게 당연했지만 3년 뒤부터는 우리나라의 미래를 바꿀 것”이라고 내다봤다.

조 교수가 예측한 우리나라 미래 연표에 따르면 2020년에는 출생아 수가 30만 6000명대로 떨어져 영·유아 시장에 비상이 걸린다. 2023년엔 18세 인구가 약 43만명으로 줄어들어 대학들이 신입생 충원을 위해 등록금 인하 경쟁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또 2024~2025년엔 어린 자녀를 둔 젊은층이 줄면서 지방 대형마트에서 철수 도미노 현상이 일어나고 2027년이면 큰손 고객인 ‘50대 사모님’의 고령화로 지방 백화점 중심의 상권이 몰락하기 시작할 전망이다. 나아가 2035년엔 여성 세 명 중 한 명이 65세 이상인 ‘할머니 전성시대’가 열리고 2039년이면 20~24세인 남성 중 41%가 입대해야 한다.

조 교수는 “이러한 인구가 만들어 내는 사회 변동을 생각하지 않은 기술의 진보는 의미가 없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우리나라의 미래를 결정할 인구 현상 6가지로 ‘초저출산’, ‘비혼’, ‘만혼’, ‘가구의 축소’, ‘수명 연장’, ‘인구의 도시 집중’을 꼽았다. 그는 “이 여섯 가지만 기억해도 우리의 미래가 엄청나게 바뀔 것이란 걸 짐작할 수 있다”면서 “인구 변동(메가트렌드)에 관심을 가져야 미래가 보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2018-10-19 5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