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남북, 한강 하구 선박서 음향으로 조사…내년 1월 해도 제작

남북, 한강 하구 선박서 음향으로 조사…내년 1월 해도 제작

김태이 기자
입력 2018-11-05 11:23
업데이트 2018-11-05 11: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7일간 3구역 나눠 2척씩 투입…접근 어려운 곳은 무인측량선 활용

5일 첫발을 뗀 한강 하구 공동이용 수역에 대한 남북 공동수로 조사는 앞으로 민간선박이 자유로이 드나들기 위해 꼭 필요한 수로 정보를 측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에 따르면 남북 10명씩 모두 20명으로 이뤄진 조사단은 우리 측이 제공한 소형 선박 6척을 나눠 타고, A·B·C 3개 구역을 다음 달 말까지 37일간 조사한다.

한 척당 3∼4명이 타고 2척씩 1개 구역을 맡는다.

우리 측 조사단 10명은 국방부에서 팀장 포함 2명이 참여하고, 나머지 8명은 국립해양조사원 공무원으로 꾸려졌다.

이동재 국립해양조사원장은 이날 세종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수로 조사는 음향을 이용해 선박에서 해저 바닥까지 깊이를 측정한 뒤 조석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하는 바닷물 높이를 적용해 선박이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는 수심을 알아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한 측은 창후리 북쪽 B 구역에서 내려와 선박에 탑승한다. 북측 인원이 돌아가는 데 걸리는 시간과 겨울철 짧아진 낮을 고려하면 하루에 조사 가능한 시간은 그리 많지 않다는 점이 고민이다.

이 원장은 “한강하구 공동 이용 수역은 정전 협정 이후 한 번도 조사가 이뤄지지 않은 곳이라 바다 상태가 좋지 않은 특수성을 고려하면 조사 기간이 늘어날 수 있다”며 “‘역사적인 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 분야 합의서’에 따라 다음 달 말까지 완료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후 결과 처리를 위해 내년 1월까지는 해도를 제작해 국방부에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또 “실제로 몇t 규모의 선박이 어느 항로로 운항할 수 있을지는 이번 조사 후 해도가 만들어져야 판단할 수 있다”며 “안전한 항해를 위한 기본 조사로 유엔사와 협의해 진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유엔 제재와 관련된 문제는 없다”고 덧붙였다.

이번 남북 공동조사에 투입되는 수로 조사선 2척과 소형어선 4척 등 모두 6척의 배는 우리 측에서 마련한다. 조사의 신뢰성을 담보하고자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다.

이에 따른 선박과 장비 임차료 4억1천800만원은 통일부 남북협력기금을 사용해 업체 측에 지원한다. 이 비용을 포함해 국립해양조사원 공무원 출장비와 일상 경비 등 이번 공동조사에 들어가는 4억9천900만원은 우리 측이 부담하게 된다.

이 원장은 “북한 측은 인력이 오는 정도니까 (부담에 대해서는) 우리가 알지 못하고 있다”며 “우리 장비를 쓰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가 부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1953년 정전 협정 이후 65년 만에 처음으로 이뤄지는 수로 조사인 만큼, 남북은 현장 안전 확보에 만전을 기울일 예정이다.

현장에서 승선하는 공동조사자는 구명조끼와 안전화 등을 착용하게 하고, 선박이 좌초할 위험에 대비해 반드시 두 척 사이의 거리를 500m를 유지한다.

현장 조사가 꼭 필요하지만, 접근이 어려운 해역은 원격 조정이 가능한 무인측량선을 투입한다. 길이 1천720㎜, 너비 420㎜, 높이 310㎜ 크기의 이 무인측량선은 배터리팩으로 60분간 활동할 수 있다.

이 원장은 “만에 하나 불의의 사고가 생겨 현장 긴급 대응이 불가능한 상황이 일어나면 신속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하도록 국방부와 사고 유형별 시나리오를 구축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국립해양조사원은 이번 조사가 내년 1월 해도 제작을 목표로 한 것이라며, 그 이후의 ‘민간 활용 방안’ 등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이 원장은 “이번에 우리가 조사하는 것은 항해의 안전을 지원하는 수심과 측량”이라며 “이외의 부분에 대해선 말할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