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데스크 시각] 스포츠클럽 가입 주민이 늘기를 원하는가?/이지운 체육부장

[데스크 시각] 스포츠클럽 가입 주민이 늘기를 원하는가?/이지운 체육부장

이지운 기자
입력 2018-11-08 17:44
업데이트 2018-11-08 18: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국은 1996년 애틀랜타올림픽에서 종합순위 36위를 했다. 2000년 시드니올림픽부터는 근대 스포츠 발상지로서의 위상을 회복하긴 했지만, 2012년 런던올림픽을 앞두고는 마음이 조급해졌다. 엘리트 스포츠에 사활을 걸었고, ‘UK 스포츠’를 대대적으로 추진해 나간다.
이미지 확대
이지운 논설위원
이지운 논설위원
내용은 간단하다. 메달 획득 가능성이 좀더 큰 종목과 선수들에게 재정을 집중하겠다는 것이었다. 이 전략에는 ‘타협 불가’(No compromise)라는 대원칙이 붙었다. 타협 문제가 거론된 것은 생활체육 관장 기관인 ‘스포츠 잉글랜드’와 엘리트 체육 책임 기관인 ‘UK 스포츠’ 간의 통합 논의가 정치권에서 진행됐기 때문이다. 영국은 2012년까지 조직 통합 결정을 보류했다.

호주는 1976년 몬트리올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하나도 따지 못했다. 이후 스포츠위원회를 창설하고 법, 제도를 정비한다. 연방정부뿐 아니라 주마다 엘리트 스포츠 육성기구를 갖추기 시작했고, 메달을 다시 조금씩 늘려 나가는 등 성과를 냈다. 1992년 이후에는 아예 ‘슈퍼 세븐’을 도입했다. 수영, 조정 등 7개 종목 엘리트에 자원을 더욱 집중하는 내용이다.

이때 호주의 1인당 GDP는 2만 달러대였다. 3만 달러 시대에도 엘리트 육성 정책은 강화된다. 수백 명의 체육 엘리트에게 수천만 달러의 장학금을 지급하는 정책도 내놓았다. 4만 달러를 넘어서도 마찬가지였다. 우수 선수 투자 범위를 세계 3위권, 10위권으로 확대해 나갔다. 호주는 이 과정에서 국가 위상도 높아졌다고 흐뭇해하고 있다. 호주는 스포츠의 가치를 국가 GDP의 2%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생활체육으로 하자면 독일만 한 나라도 없다. 1912년, 1920년 ‘신체훈련제국위원회’를 만들어 ‘제국놀이터법’을 만들었을 정도다. 그런 독일도 엘리트 체육에 손을 놓은 적이 없다. 이유는 간단하다. 엘리트 선수의 성공이 생활체육에 자극제가 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엘리트 체육의 성공은 체육 전반의 발전과 확산에 촉매 역할을 한다’는 것이 독일연방정부 스포츠 정책의 첫 번째 구호다.

아시아 스포츠의 최강 일본이 1990년대부터 중국, 한국에 밀리게 된 것은 1980년대 엘리트 체육에 소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일본은 절치부심 2011년 새로운 스포츠기본법을 새로 내놓았다. 1961년 스포츠진흥법 제정 이후 50년 만이다. 2020년 도쿄올림픽을 겨냥한 것으로, 역시 엘리트 체육을 크게 강화한 것이 핵심이다.

한국 스포츠의 성적 하락세가 뚜렷하다. 지난 아시안게임에서 1998년 방콕대회 이후 20년 만에 일본에 2위 자리를 내줬다. 앞서 2016년 리우올림픽에서는 총메달 수 21개로 1984년 LA대회의 19개 이래 메달 수가 가장 적었다. 도쿄올림픽에서는 ‘몰락’에 가까운 성적이 나올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고, 체육인들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정부가 공들이고 있는 생활체육 육성 방안을 반대하지 않는다. 도리어 크게 환영한다. 우리도 그럴 때가 됐다.

그렇다고 엘리트 체육에 소홀할 필요는 없다. 스켈레톤 윤성민 선수를 생활체육을 통해 길러 낼 수는 없는 일이다. 분야별로 다양한 윤성민이 탄생해야 비인기 종목에도 사람이 찾아오고 인기 종목도 더욱 불붙는 법이다.

‘스포츠클럽에 가입하는 지역 주민이 늘기를 원하는가? 엘리트 출신 유명 지도자를 영입하라.’ 이것이 스포츠 강국들이 여러 실험 끝에 내린 결론이다. 이는 엘리트 선수가 존재해야 가능한 일이다.

2020년 도쿄올림픽 성적표를 받아들고 ‘생활체육 강화 과정에서 나타난 일시적인 조정 현상’이라는 변명을 듣지 않기 바란다.

jj@seoul.co.kr
2018-11-09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