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금강산 南시설 철거 압박 속 김연철 첫 방미…금강산 관광 트나

금강산 南시설 철거 압박 속 김연철 첫 방미…금강산 관광 트나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19-11-17 13:09
업데이트 2019-11-17 13: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건 등 美주요인사 연쇄 접촉…금강산 관광 문제 협의 초점 맞춰질 듯

한반도국제평화포럼서 기조연설
‘올림픽 휴전 제안’에 미측 반응 주목
WP 인터뷰서 “도쿄올림픽 계기로
北 발사 유예·한미 훈련 유예” 제안
이미지 확대
김연철(왼쪽) 통일부 장관이 1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금강산관광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연철(왼쪽) 통일부 장관이 1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금강산관광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이 금강산 관광단지 내 노후한 한국 시설에 대해 철거하겠다며 연일 압박을 해오는 가운데 김연철 통일부 장관이 17일 취임 후 처음으로 미국 방문 길에 올랐다. 앞서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과 만나 금강산 관광 문제를 논의한 김 장관은 이번 방미 중에 한반도 관련 주요 미국 인사들을 연쇄적으로 만나 금강산 관광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통일부에 따르면 김 장관은 17∼23일 한반도국제평화포럼(KGFP) 참석을 위해 워싱턴DC, 로스앤젤레스(LA)를 방문한다.

오는 20일 미국평화연구소(USIP)에서 열리는 KGFP는 통일부가 주최하고 USIP와 세종연구소가 공동주관하는 행사로, 김 장관은 이번 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할 예정이다.

김 장관은 이번 포럼 참석을 계기로 미 연방정부 및 의회 주요 인사들과 만나 남북관계 주요 현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최근 미국 국무부 부장관에 지명된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특별대표 등 한반도 관련 주요인사들과도 연쇄 접촉할 것으로 전해졌다.

무엇보다 북한이 금강산 시설 철거를 요구하는 ‘최후통첩’을 보내는 등 남북경협이 시험대에 오른 상황이라는 점에서 그의 이번 미국 방문은 금강산 관광 문제 협의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미지 확대
의원들 질의 답하는 김연철 통일부 장관
의원들 질의 답하는 김연철 통일부 장관 김연철 통일부 장관이 7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들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19.11.7
연합뉴스
최근 통일부 고위당국자는 기자들과 만나 “금강산 관광은 우리가 판단할 문제가 있고 한미 간에 협의해야 할 문제도 있다”면서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 같은 경우는 지난해 이산가족 상봉할 때 일부 제재 면제 절차를 받은 적이 있는데 그런 부분에 대해서도 우리 입장을 얘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의 ‘올림픽 휴전’ 제안 등에 미국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도 관심이다.

김 장관은 최근 워싱턴포스트(WP)와 인터뷰에서 북미간 신뢰 구축 조치와 관련한 아이디어를 들고 워싱턴에 가겠다면서, 내년 도쿄 올림픽을 계기로 북한이 미사일 시험을 유예하고 미국은 한국과의 연합 군사훈련을 유예하는 방식을 거론했다.

또 미국이 북한에 친척을 둔 한국계 미국인을 위해 북한 여행 제한을 완화하는 것도 제안했다.

이밖에도 김 장관은 워싱턴DC 스팀슨센터 및 LA 서던캘리포니아대학(USC) 한국학연구소를 찾아 한반도 문제 전문가들과 북한 비핵화 견인 및 한반도 평화체제구축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21일에는 USC에서 ‘한반도 평화·경제’를 주제로 공개 특강도 진행한다.
31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국무부 부장관에 지명된 스티븐 비건 대북 특별대표가 지난 6월 28일 서울에서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 교섭 본부장과 회담을 갖던 모습. AP 자료사진 연합뉴스
31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국무부 부장관에 지명된 스티븐 비건 대북 특별대표가 지난 6월 28일 서울에서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 교섭 본부장과 회담을 갖던 모습.
AP 자료사진 연합뉴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