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돌아온 은행권 명예퇴직의 계절…“억대 퇴직금받고 나갈까”

돌아온 은행권 명예퇴직의 계절…“억대 퇴직금받고 나갈까”

장진복 기자
장진복 기자
입력 2019-12-09 15:56
업데이트 2019-12-09 18: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익성 악화 속 은행은 판관비 부담↑

이미지 확대
출근길 영하의 날씨에 두꺼워진 옷차림
출근길 영하의 날씨에 두꺼워진 옷차림 서울 아침 최저기온이 -2도까지 떨어진 25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 네거리에서 두꺼운 겨울 외투를 입은 시민들이 출근길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기상청은 이날 중국 북부에서 확장하는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전국이 가끔 구름이 많고, 강원 영동과 경상 동해안은 흐려질 것으로 예보했다. 2019.11.25/뉴스1
연말연시를 맞아 은행권에 인력 구조조정 바람이 불어닥칠 전망이다. 업무를 디지털화하면서 인력을 줄이는 시중은행들은 거액의 퇴직금 지급 부담에도 명예퇴직을 정례화하는 추세다. 퇴직금을 두둑이 챙겨 ‘제2의 인생’을 준비하기 위해 명예퇴직을 손꼽아 기다리는 은행원들도 많아졌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농협은행은 지난달 28일까지 명예퇴직을 신청받았다. 만 56세에 해당하는 직원 또는 10년 이상 근무한 만 40세 이상 직원이 대상이다.

농협은행을 시작으로 다른 은행들도 명예퇴직을 본격적으로 실시한다. KB국민은행은 이번달 안으로 명예퇴직 규모와 조건 등을 결정할 예정이다. 국민은행 노사는 지난 2015년 임금피크제 직원 대상 희망퇴직을 매년 정례화하기로 합의했다.

KEB하나은행도 올해부터 연간 2차례 고연령 장기 근속직원을 대상으로 ‘준(準)정년 특별퇴직’을 실시하고 있다. 만 40세 이상, 근속기간 15년 이상 직원이 대상이다. 2017년 말과 올해 초에는 임금피크제 직원이 남은 연봉을 한 번에 받고 회사를 떠나는 임금피크제 특별퇴직도 실시했다. 올 연말 시행 여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신한·우리은행은 아직까지 명예퇴직 실시 여부와 시행 시기 등이 결정되지 않았다.

인터넷뱅킹 등 비대면거래 활성화로 지점과 인력을 줄여 온 은행들은 퇴직금을 넉넉하게 주면서 명예퇴직 대상을 늘려왔다. 은행들의 인력 구조는 대부분 중·장년층 비중이 높은 항아리형이다. 신입사원 채용을 늘리기 위해서라도 명예퇴직을 통해 숨통을 틔워야 한다.

지난해 은행들은 최대 39개월치 월급에 해당하는 특별퇴직금 지급을 조건으로 내거는 등 명예퇴직을 독려했다. 여기에 자녀 학자금과 재취업·창업 지원금도 얹어줬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특별퇴직금만 해도 3억~5억에 달하고 퇴직금 중간정산을 받지 않았을 경우 총 7억~8억을 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금융권에서는 ‘고액 연봉 퇴직자’들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신한은행이 지난 8월 제출한 반기보고서를 보면 퇴직자들이 임원, 간부 등을 제치고 보수 상위 5위에 이름을 올렸다. 보수 상위 1위인 A전 지점장은 퇴직 소득 등을 합해 8억 7500만원을 받았다.

구조조정을 앞둔 은행권 풍경도 바뀌고 있다. ‘인생 이모작’을 준비하는 일부 직원들은 명예퇴직을 선호하는 분위기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10여년전까지만 해도 명예퇴직이라고 하면 사측이 윽박질러 억지로 짐을 싸서 나가는 분위기였는데 지금은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신청한다”고 전했다.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이자 장사가 시원찮은 은행들은 대규모 퇴직금 지급 부담까지 더해져 수익성이 더 안 좋아질 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순이자마진(NIM)도 급격하게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금융당국의 규제로) 신탁 상품 판매가 금지돼 비이자수익마저 급감하면 퇴직금과 같은 판매관리비 지출은 마른 수건 쥐어 짜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