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결국 어린이집까지 문 닫아… 아이 맡길 곳 없는 맞벌이 어쩌나

결국 어린이집까지 문 닫아… 아이 맡길 곳 없는 맞벌이 어쩌나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0-02-26 18:12
업데이트 2020-02-26 19: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달 8일까지 어린이집 휴원 사태

이미지 확대
성동구 어린이집 자체 방역하는 교사들 ‘자체 방역 철저’
성동구 어린이집 자체 방역하는 교사들 ‘자체 방역 철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40번째 확진 환자가 발생한 19일 오전 서울 성동구의 한 어린이집에서 관계자들이 소독 작업을 하고 있다. 2020.2.19
뉴스1
“가정 돌봄 가능하면 최대한 이용 자제”
당번교사 긴급보육 10∼20% 이용 전망
가족돌봄휴가·육아기근로단축 이용 권고
중기근로자·비정규직들 “그림의 떡” 호소
학교별 돌봄 시간 달라… 맞벌이 속수무책


정부가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을 막기 위해 어린이집 휴원 조치를 꺼내 들었다. 전국 유치원과 초·중등학교 신학기 개학을 일주일 연기한 데 이어 어린이집의 문까지 닫아 아동·청소년들의 이동을 최대한 막고 추가 감염자를 최소화하겠다는 취지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총괄조정관은 2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정부는 영유아의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27일부터 오는 3월 8일까지 전국 어린이집을 휴원한다”고 밝혔다.

그는 “방역 목적상 최대한 이동을 자제하고, 아동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정에서 아이를 돌볼 수 있다면 어린이집 이용을 최대한 자제해 달라는 뜻”이라고 말했다. 휴원 기간은 코로나19 확산 상황에 따라 연장될 가능성도 있다.

정부는 휴원하더라도 어린이집에 당번교사를 배치해 긴급보육을 시행하기로 했다. 돌봄 공백을 메우기 위한 취지다. 정부는 어린이집 이용 아동의 10~20% 정도가 긴급돌봄을 이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코로나19 지역사회 감염이 본격화된 이후 전국 어린이집의 75%는 이미 휴원 상태다.

정부는 ‘가족돌봄휴가제’와 ‘육아기근로시간단축제도’를 적극 활용해 가정 내 돌봄을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가족돌봄휴가제는 근로자가 자녀의 양육 등을 위해 긴급하게 돌봄휴가를 신청하는 경우 연간 최대 10일 범위에서 무급휴가를 제공하는 제도다. 근로자가 신청하면 사업주는 반드시 허용해야 한다. 육아기근로시간단축제도는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가진 육아기 근로자가 주당 근무시간을 15∼35시간으로 줄일 수 있는 제도다. 그러나 학부모들 사이에서는 “중소기업 근로자나 비정규직 등은 그림의 떡”이라고 호소한다.

서울 노원구에서 4살 아이를 키우는 공무원 이모(34)씨는 “비상 사태라 일을 쉬는 건 아예 불가능하고, 친정이나 시댁 찬스를 쓰자니 아이를 데리고 기차나 버스를 태워야 해 더 불안하다”면서 “아이의 외출을 최소화하자는 취지의 휴원이지만 어쩔 수 없이 아이를 어린이집으로 보내야 한다”고 말했다.

유치원생과 초등학생을 키우는 가정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교육부는 “기존 학교 수업과 방과후 돌봄 시간만큼 긴급 돌봄을 제공한다”고 설명하지만 학교별로 시간에 차이가 있다. 대체로 오전 9시부터 돌봄이 시작되지만 오후 5시에 끝나는 학교가 있는가 하면 돌봄교사의 확보 여부 등에 따라 오후 1~3시 사이에 끝나는 학교도 적지 않다. 경기 수원의 한 학부모는 “오후 2시에 돌봄이 끝난다고 해 맞벌이 가정에는 아무 소용이 없다”면서 “학원도 휴원을 하면 정말 방법이 없다”고 토로했다. 이 밖에 정부는 만 12세 이하 아동의 집에 아이 돌보미가 찾아가는 여성가족부의 ‘아이돌보미서비스’, 각 지방자치단체의 마을돌봄 자원 등도 적극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이 같은 서비스도 공급이 충분치 않거나 감염 우려가 해소되지 않아 돌봄 자원의 촘촘한 연계와 방역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20-02-27 1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