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은경의 유레카] 일상화된 이상기후와 탄소발자국

[이은경의 유레카] 일상화된 이상기후와 탄소발자국

입력 2021-01-25 20:24
업데이트 2021-01-26 01: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은경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이은경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새해 시작부터 한파와 폭설을 겪었다. 배수관이 얼어 터지고 도로는 대혼란이었다. 팔순의 어머니께서 지구온난화인데 어떻게 이렇게 추운 거냐며 걱정하셨다. 작년에는 이렇게 겨울이 따뜻하면 여름에 벌레가 많다고 걱정하셔서 지구온난화 때문이라고 말씀드렸는데 그걸 기억하고 계셨다.
이미지 확대
최근 몇 년간 겨울 날씨는 극과 극을 달렸다. 2018년 겨울에는 이상 한파가 기승을 부렸고 2019년 겨울은 역대 가장 따뜻했다. 그리고 올해 겨울, 다시 강력한 한파가 왔다. 이렇게 추워도, 따뜻해도 다 지구온난화 때문이라고 하니 ‘온난’(溫暖)을 따끈함 정도로 이해하는 내 어머니 같은 분은 어리둥절할 수도 있겠다.

지구온난화는 누가 들어도 ‘지구가 따뜻해졌다’는 뜻의 쉬운 말이면서도 그 때문에 진짜 의미를 알기 어려운 말이다. 산업화 이전에 비해 지구의 평균 온도가 섭씨 1도 정도 높아졌고 계속 높아진다는 정보를 더해도 마찬가지다. 온난의 평화로운 이미지 때문인지 연평균 1도 상승에 해당하는 에너지 양이 엄청나고, 그 에너지가 수증기 발생과 대기 흐름에 예상치 못한 영향을 주며, 그래서 지금의 이상기후가 일상이 될 것이라는 점을 떠올리기 어렵다. 지구온난화보다 기후변화가 더 널리 쓰이고 더 강조됐으면 좋겠다.

기후변화에 빨리 대응해야 한다는 것에는 세계가 공감한다. 구체적인 실천 전략에서는 이해관계에 따라 입장이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어느 누구도 기후 문제 대응을 위한 행동을 피할 수는 없게 됐다. 2016년 발효된 파리기후협약에 세계 대부분의 국가가 가입한 것,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재임 기간에 미국이 이 협약을 탈퇴하자 비난이 쏟아진 것은 그 때문이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당일 재가입을 발표했다.

더 나아가 2020년 후반에는 탄소중립 선언이 줄을 이었다. 2019년 영국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선언을 하면서 앞서 나갔다. 탄소중립은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고 나무심기같이 배출된 탄소를 포획하는 방식을 통해 최종적으로 탄소배출 총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이다. 매우 어려운 과제다. 그럼에도 2020년에는 유럽연합(EU)ㆍ일본ㆍ한국 등이 2050년까지, 중국은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했다.

구체적인 실천에 대한 압력도 커지고 있다. EU는 기후변화 대응에 미온적이면서 경제 성과만 누리려는 국가와 기업을 견제하기 위해 2023년에 탄소국경세를 도입할 예정이다. 기업평가에서 중요해지고 있는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칭인 ESG에서도 이산화탄소 배출 요소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정부도 기업도 부담스럽지만 피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다.

소비자로서 우리 보통 사람들도 이상 한파를 잘 넘기는 것 이상의 실천이 필요하다. 그중 하나가 저탄소 제품을 적극 소비하는 것이다. 한국에는 이미 제품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알리는 환경영향표지 제도가 있고, 그중 하나로 저탄소 제품을 인정하는 탄소발자국이 있다. 그러나 주변에서 이 제도를 아는 사람, 또는 탄소발자국이 커다랗게 표시된 제품을 만나기 어렵다. 정부, 기업, 미디어, 학교에서 탄소발자국에 대한 적극 홍보가 필요하다. 지구온난화를 그저 덜 추운 겨울쯤으로 이해하시는 내 어머니 같은 분들이 매년 날씨 이변을 겪지 않도록 하는 빠른 길 중 하나다.
2021-01-26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