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인양 이후] 돌아오지 못한 6인 어디에…

[천안함 인양 이후] 돌아오지 못한 6인 어디에…

입력 2010-04-26 00:00
수정 2010-04-26 00: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절단면 부근서 산화·유실 침몰해역 펄에 묻혔을 수도

24일 인양된 함수에서는 박성균 하사가 싸늘한 시신으로 귀환했다. 하지만 맏형 이창기 원사, 최한권 상사, 박경수 중사, 장진선 하사, 강태민 일병, 정태준 이병은 끝내 돌아오지 못했다. 천안함 실종장병 모두 시신이라도 찾아 장례절차를 밟을 수 있도록 해달라는 것이 군과 가족, 그리고 온 국민의 바람이었다.

이미지 확대
군은 24일 인양된 함수에서 정밀수색을 벌여 지하 2층 자이로(Gyro)실에서 박 하사의 시신을 발견했다. 박 하사는 안전당직으로 순찰 중이었다고 군은 설명했다.

당초 군은 천안함 실종자 46명이 함미에 있을 것으로 추정했지만 함미 인양 전 발견된 고(故) 남기훈·김태석 상사를 포함한 38명을 찾는 데 그쳤다. 이후 22일 함미 발견 지점 인근 해저에서 천안함 연돌을 발견했으며 박보람 하사의 시신을 발견했다.

나머지 6명의 장병은 생존장병의 증언에 따르면 천안함이 두 동강 난 지점 인근에서 목격됐다고 한다.

결국 함수에서도 발견되지 않은 이들은 폭발에 의한 충격으로 산화(散華)했거나 외부로 유실됐을 가능성만 남게 됐다. 1200t급 초계함을 두 동강 낸 정도의 폭발을 직접 맞았을 경우 실종 장병들의 신체는 산화했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합조단 발표에 따르면 선체 절단면에서 직접 충격의 증거는 많지 않다. 생존 장병들이 화약 냄새 등을 맡지 못했다는 점을 근거로 추정해도 직접 타격 가능성은 낮다. 결국 선체 절단으로 인해 유입된 바닷물에 6명의 장병이 유실됐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부분이다. 이 경우 연돌에서 발견된 박 하사처럼 선체 일부와 함께 바다에 가라앉거나 펄 등에 묻히지 않았다면 중국해 등 먼 바다로 시신이 떠내려갔을 가능성이 높다.

첫 사건 발생 지점 인근 해역에 가라앉았을 가능성도 있다. 백령도 일대 해역이 부유물이 많고 지질이 펄인 점을 고려하면 가라앉아 묻혔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실종자 수색은 가족들의 요청 등으로 공식적으로 중단됐지만 함수와 함미 인양 침몰 해역에서 선체 파편 수색 작업과 함께 부분적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오이석기자 hot@seoul.co.kr
2010-04-26 5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