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적 얘기 줄이고 고민 털어놓게 신뢰 쌓아야”

“성적 얘기 줄이고 고민 털어놓게 신뢰 쌓아야”

입력 2010-04-27 00:00
수정 2010-04-27 00: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대전 버드내초교 학교폭력예방교육 가보니

‘학교폭력 피해자 가족협의회’ 조정실 회장이 요즘 대전에서 쪽방 생활을 한다. 지난해 부산에 이어 올해 대전에서 학부모를 대상으로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매일 1~2개 학교를 돌며 상담과 대처 과정에서 겪은 학교폭력 사례와 예방법, 대처법 등을 설명한다. ‘학교폭력 예방기간’ 동안 경찰청에서도 예방교육을 실시하지만, 조 회장은 처벌 얘기는 많이 다루지 않는다. 가해자가 진심으로 용서를 빌고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게, 피해자가 아픔을 극복하고 자신의 자리로 돌아올 수 있게 보듬는 방법을 알리는데 조 회장은 초점을 맞춘다.
이미지 확대


지난 23일 오전 10시 대전 버드내초등학교에서 학부모를 상대로 예방교육을 진행한 조 회장의 강연 내용을 정리했다.

학교폭력 얘기가 나오면 학부모는 학교 보냈더니 애가 다 망가졌다고 원망하고, 학교는 가정교육이 문제라고 원망합니다. 이렇게 반목해서는 안 됩니다.

학교폭력은 쉽지 않은 문제입니다. 피해자와 가해자가 한 교실 속에 있고, 어른들에게 말해봤자 우격다짐으로 해결하거나 법대로 해결하자고 할 게 뻔하니까 아이들은 말하지 않습니다. 피해자는 속으로 꾹꾹 참다가 발작을 일으킵니다. 이때는 이미 정신분열증 상태가 왔을지도 모릅니다. 늦었다는 얘기입니다.”

“다른 징후를 보일 때도 있지만, 부모들은 잘 모릅니다. 전학 가겠다고 조릅니다. 부모들은 사춘기라서 그러는지 헷갈려 합니다. 가출을 하기도 합니다. 우리 부모님들은 원인분석을 하지 않습니다. 그저 친구 잘못 만나서 가출했다고 합니다. 힘있는 아이들 밑으로 자청해서 들어가기도 합니다.

●“우등생이 따돌림당하면 저항 어려워”

가장 안타까운 경우는 돌이킬 수 없는 선택을 할 때입니다. 성적이 좋은 학생은 우리 사회에서 특혜를 받습니다. 웬만해서는 친구랑 싸워도 혼도 안 납니다. 이런 학생이 따돌림을 당한다면 저항할 능력이 없습니다. 좌절 끝에 자살하는 학생은 ‘보복성 자살’입니다. 유서에 자신을 괴롭힌 학생 이름을 쓰고, 처벌해 달라고 씁니다. 주변에서 지켜줄 수 있다는 확신을 줬다면 피할 수도 있었을 죽음입니다. 물론 성적이 떨어진 학생이 유서를 남기기도 합니다. “엄마, 미안해.”라고 씁니다. 성적이 떨어졌는데 엄마한테 왜 미안합니까. 성적만으로 평가하면 아이들이 다른 고민을 얘기하지 못합니다. 부모는 신뢰를 줘야 합니다.

●“자녀가 용돈 달라고 하면 관찰해야”

아이와 소통하지 않으면 학교폭력 징후를 알아채기는 더 어려워집니다. 학교폭력은 점점 은밀해지고 있습니다. 가해자들이 돈을 빼앗을까요? 그냥 빌려달라고 합니다. 없다고 하면 내일 정오에 빌려달라고 하고, 다음날 정오에 받아갑니다. 친구 생일파티가 잦아졌다면, 필요 이상으로 용돈을 조른다면 잘 관찰해 보십시오. 집에 선물을 잔뜩 들고 온다면 우리 애가 빌리는 식으로 금품을 빼앗지는 않았는지 지켜 보십시오. 피해자와 가해자는 친구 사이였을 수도 있습니다.

피해자였기에 가해자가 된 학생들도 많습니다. 어떤 경우든 가능합니다. 아이가 못되거나 못나서 그런게 아닙니다.

부모라면 신뢰하고 도와줄 수 있어야 합니다. 피해자의 부모들은 이런 게 고민입니다. 아이가 문제삼지 않기를 바랍니다. 전학을 원할 때도 있습니다. 가해자 부모가 사과를 안 하기도 하고, 피해자에게 도리어 문제가 있다고 우기기도 합니다. 복잡한 상황입니다. 이럴 땐 교사를 믿고 상담해 주세요. 그리고 하나씩 문제를 풉니다. 전학을 갈 때와 안 갈 때 예상되는 상황을 설명하고 아이의 결정에 따라 줍니다.

●“사건 발생땐 교사가 중심 잡아줘야”

교사도 힘듭니다. 사건이 발생하면 가해자와 피해자 부모가 양쪽에서 항의합니다. 가해자 부모는 마음대로 하라고 빈정대고, 피해자 부모는 무조건 고소한다고 맞섭니다. 학교에서 가해 학생을 처벌할 수단은 없습니다. 가해자와 피해자가 맞서면 학생들은 어떤 일이 옳은지 그른지 판단하지 못합니다. 어려워도 교사가 중심을 잡아주세요.

가해자들도 힘듭니다. 그렇지만 자녀가 형사처벌을 받는다는데 방관할 부모는 없습니다. 형사처벌을 막기 위해, 또 자녀의 앞길을 위해 자녀를 꾸짖어야 합니다.

피해자에게 사과를 하러 갈 때에는 가해 학생을 꼭 데리고 가십시오. 학생이 일을 저지르고 엄마가 얼마나 고생하면서 해결했는지 모르면, 또 다시 재발하니까요.

대전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0-04-27 14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