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각국의 발사 실패 사례

해외 각국의 발사 실패 사례

입력 2010-06-11 00:00
수정 2010-06-1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한국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I)가 10일 두번째 발사 실패를 겪었지만,발사 실패는 우주개발 강국들도 번번이 맛본 쓰라린 경험이다.

 과거 위성발사에 나섰던 국가들의 첫 발사 성공률이 27.2%에 불과하듯 기계공학,화학공학 등 모든 과학기술의 총합인 우주개발 기술의 길은 멀고도 험하다.

 발사체 실패 원인으로는 추진시스템(액체 엔진 및 고체 모터,추력기,동력장치,연소실 등)의 문제가 66.2%로 가장 많았고,분리(단 및 페어링 분리 메커니즘,분리를 위한 전기적 연결) 문제가 12.6%로 그 뒤를 이었다.

 한국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I)가 10일 두번째 발사 실패를 겪었지만, 발사 실패는 우주개발 강국들도 번번이 맛본 쓰라린 경험이다.

과거 위성발사에 나섰던 국가들의 첫 발사 성공률이 27.2%에 불과하듯 기계공학, 화학공학 등 모든 과학기술의 총합인 우주개발 기술의 길은 멀고도 험하다.

발사체 실패 원인으로는 추진시스템(액체 엔진 및 고체 모터, 추력기, 동력장치, 연소실 등)의 문제가 66.2%로 가장 많았고, 분리(단 및 페어링 분리 메커니즘, 분리를 위한 전기적 연결) 문제가 12.6%로 그 뒤를 이었다.

항공전자공학(컴퓨터, 회로 보드, 비행안전 관련 장치 등)은 10.6%, 구조(고체 로켓 모터 내부 구조, 모터 케이스, 각종 탱크, 페어링 등)는 4.5%, 전기장비(전기 연결 및 배선, 전력 공급 장치 등)가 4%, 기타(번개 등의 기상환경, 통신 문제 등)가 2%를 차지했다.

각국의 우주발사체 발사 실패 사례를 살펴본다.

▲미국 최초의 위성발사체였던 ‘뱅가드(Vanguard)’가 1957년 12월 6일 발사 2초 만에 폭발했다. 탱크와 인젝터의 낮은 압력 때문에 연소실의 고온가스가 인젝터를 통해 연료시스템으로 새 들어가면서 사고가 난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의 ‘아틀라스 G(Atlas G)’는 발사 49초 후 벼락에 맞아 비정상 기동 후 지상명령에 의해 파괴됐다. 번개 영향으로 발사체의 유도 메모리가 재작동 되고 나서 비정상적인 회전이 발생해 발사체가 부서지기 시작했고, 발사 70초 시점에서 파괴 명령이 송출돼 발사가 강제 중단됐다.

▲일본의 첫 우주발사체인 ‘람다(Lambda)’는 1966년 우주궤도 진입을 시도했지만, 발사체 제어에 문제가 생기면서 실패로 끝났다. 또 ‘에이치투에이(H2A)’는 2003년 11월 29일 부스터를 분리하지 못해 궤도에 오르기 위한 속도를 얻지 못하면서 강제로 폭발됐다.

▲발사체 1ㆍ2ㆍ3단 엔진을 각각 영국ㆍ프랑스ㆍ독일제로 장착했던 ‘유로파(Europa)’는 1961년부터 1971년 사업이 종료될 때까지 부분적인 발사시험을 포함해 11번의 발사시도 중 7번의 실패를 맛봤다. 1968년 첫 위성 발사시험을 비롯해 1ㆍ2ㆍ3단 엔진을 모두 사용한 테스트에서는 단 한 번의 성공도 이뤄내지 못했다.

▲중국은 ‘DF-4’ 탄도 미사일을 개량해 우주 발사체 ‘씨제트-1(CZ-1)’을 제작했지만 1969년 첫 발사시험에서 발사 69초 만에 문제가 생기면서 우주 궤도 진입의 꿈을 접어야 했다. 이 발사체는 총 4번의 발사 중 2번의 실패를 기록했다. 또 ‘씨제트-3B(CZ-3B)’는 1996년 2월 14일 발사되자마자 경로를 이탈한 뒤 22초 후 지상에 추락해 마을 주민과 군인 등 59명이 목숨을 잃었다.

▲인도 최초의 우주발사체인 ‘에스엘브이(SLV)’는 1979년 첫 발사 시험에서 발사체 제어에 문제가 생기면서 우주 진입의 꿈을 이루지 못했다.

▲유럽의 ‘아리안5(Ariane 5)’는 1996년 6월 4일 첫 비행 발사 36초 만에 급격한 궤도 이탈 후 과도한 공력을 받아 비행 중에 분해됐다.

▲브라질의 ‘브이엘에스(VLS)’는 관측 로켓에서 시작해 우주발사체로 개량된 발사체로 부스터 및 1,2,3단이 모두 고체로켓으로 구성됐으나 1997년, 1999년 2번의 발사에 모두 실패하고, 2003년 8월에는 발사를 3일 앞두고 고체 모터 중 하나가 점화돼 21명이 사망했다.

▲러시아의 ‘소유즈(Soyuz 11A511U)’도 2002년 연료 펌프 시스템의 과산화수소 오염에 의한 엔진 폭발로 발사 29초 후 폭발했다.

 연합뉴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