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세포 전이·증식 ‘스위치’ 찾았다

암세포 전이·증식 ‘스위치’ 찾았다

입력 2011-07-25 00:00
수정 2011-07-25 00: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연세대의대 윤호근 교수팀

이미지 확대
윤호근 교수
윤호근 교수
국내 연구진이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촉진하는 생물학적 신호를 켜고 끄는 ‘스위치’의 존재를 규명했다. 이에 따라 스위치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기술개발이 이뤄지면 대장암을 비롯한 암 치료에 획기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세대 의대 윤호근 교수팀은 24일 세계적 과학 학술지 ‘몰레큘러 셀’에 게재된 논문에서 “대장암 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일으키는 대표적 작동 경로인 ‘윈트(Wnt) 신호’를 체내에서 제어하고 있는 조절 스위치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윈트 신호는 생체단백질의 한 종류인 ‘베타카테닌’의 기능에 변화가 생기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며, 암이나 암줄기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문에 다국적 제약사와 종양학계는 이 윈트 신호를 줄일 수 있는 약물을 개발하기 위해 집중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윤 교수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단백질의 세포내 이동, 결합 변화 및 활성화를 조절하는 스모화(SUMOylation) 작용이 베타카테닌의 변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스모화 작용이 시작되면 베타카테닌의 결합력이 강해지면서 윈트 신호가 급격히 늘어나 암세포의 전이 능력과 종양 형성 능력이 크게 증가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반대로 스모화 작용이 멈추면 암세포의 증식 능력이 크게 억제됐다. 스모화 작용이 암세포 전이와 증식의 ‘스위치’ 같은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다.

윤 교수는 “이번 발견으로 스모화 조절 스위치가 암치료의 직접적인 목표라는 사실이 밝혀졌다.”면서 “베타카테닌과 윈트 신호, 스모화의 역할이 정확하게 밝혀진 만큼 조만간 이 스위치를 끌 수 있는 방법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1-07-25 27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