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휘어지는 반도체 개발

KAIST 휘어지는 반도체 개발

입력 2013-05-07 00:00
수정 2013-05-07 09: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수년 내 상용화

국내 연구진이 실리콘 기판 위에 휘어지는 반도체를 구현하는데 성공했다.

KAIST(한국과학기술원)는 신소재공학과 이건재 교수팀이 입는 컴퓨터와 휘어지는 디스플레이의 핵심 부품인 휘어지는 반도체를 구현했다고 7일 밝혔다.

휘어지는 반도체는 대량의 정보를 처리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수천개 이상의 고성능 나노 반도체를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고집적 회로를 구현해야 한다.

기존 반도체 소자인 실리콘은 휘어지지 않고 부러지기 쉬워 차세대 휘어지는 반도체 신소재인 ‘그래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상용화에 수십년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팀은 고집적 소자를 단결정 실리콘에 형성한 뒤 100나노미터(㎚, 10억분의 1m) 두께의 매우 얇은 실리콘 회로층만 남겨 두고 기판 아랫부분을 화학적으로 깎는 방법으로 자유자재로 구부릴 수 있는 반도체 회로를 구현했다.

기존 실리콘 반도체를 이용하기 때문에 수년 내에 상용화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교수는 나노종합기술원, 한국기계연구원과 공동으로 고집적 반도체 회로를 롤투롤(Roll-to-Roll, 종이·플라스틱 및 금박 등을 둘둘 마는 것처럼 연속적으로 인쇄해 대량생산이 가능한 공정) 방식으로 양산하는 연구를 추진 중이다.

이번 연구 성과는 미국화학회가 발행하는 나노과학기술(NT)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 ‘에이씨에스 나노(ACS Nano)’ 5월호 온라인판에 실렸다.

연합뉴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