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와 환율은
한국은행이 지난해 기준금리를 두 차례 내리면서 저금리 시대가 됐지만 전문가들은 더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설문에 답한 경제전문가 100명 중 64명이 금리 인하를 주장했다. ‘모르겠다’는 답변이 16명, 동결이 12명이었다. 올려야 한다는 답변은 8명뿐이었다. 원·달러 환율은 1000원대 중반으로 예상됐다.금리 인하 시기와 범위에 대해서는 상반기 중 1~2회, 0.25% 포인트씩이라는 답이 가장 많았다. 많게는 3회, 최저 2%까지 내려야 한다는 사람도 3명이다.
김지환 하나대투증권 리서치센터장과 이승호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상반기 내에 3회, 2.0%까지 내려야 한다”면서 인하를 주장했다. 신동석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장도 “상반기 중 0.25% 포인트씩 2~3차례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희갑 아주대 경제학과 교수는 “미국과 일본 수준으로 즉시 내려야 한다”고 밝혔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0~0.25%이며, 일본은 0~0.1%로 몇 년째 초저금리다.
미국과 일본의 경제상황에 따라 조절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노영훈 한국조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일본과 미국의 양적완화가 집중되는 상반기에 내린 뒤 원화강세 속도를 보면서 결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유병삼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도 “2, 3월쯤 2.5% 정도로 선제 인하한 뒤 미국의 양적완화 조치에 따른 원화강세에 대비해 필요할 때 더 내리면 된다”고 말했다.
금융권 수장들을 중심으로 금리 인하를 통해 경기 부진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한동우 신한금융회장과 윤용로 외환은행장은 “2013년 초에도 대내외 경기둔화가 지속된다는 전제하에 상반기에 0.25% 포인트 정도 추가 인하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응답자의 절반 정도인 54명이 올해 평균 환율이 1000원대 중반인 1034~1066원 정도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1000원대 초반인 1001~1033원까지 떨어질 거라고 답한 전문가도 29명에 달했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2013-01-01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