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수출이 월 기준 600억 달러를 돌파하며 우리나라 무역사를 새로 썼다. 글로벌 공급망 차질에 따른 원자재값 상승, 치솟는 물가, 금리 인상(통화 긴축), 코로나19 새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 출현 등이 연쇄 파장을 일으키며 우리 경제의 ‘리스크’(위험)를 키우고 있는 가운데 수출만 힘을 발휘하며 경제를 떠받치고 있다. 오미크론의 글로벌 확산으로 전 세계가 또다시 봉쇄 조치를 강화하면 수출마저 타격을 입게 돼 우리 경제를 덮고 있는 먹구름이 더욱 짙어질 수밖에 없어 우려를 더한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1년 전보다 32.1% 증가한 604억 4000만 달러(약 71조 2900억원)를 기록했다. 1956년 무역통계 집계 이래 월 기준 사상 최대 규모로, 9월 월 최고 수출액(559억 2000만 달러)을 두 달 만에 경신하며 13개월째 증가세를 이어 갔다. 2013년 10월 월 수출액 500억 달러를 처음 넘긴 후 8년 1개월 만에 600억 달러대에 진입했다.
수출 신기록 수립은 세계 경기 회복세를 타고 반도체, 석유화학 등 주력 품목과 농수산식품, 화장품 등 신성장 품목이 고루 선전한 덕분이다. 자동차 수출이 그동안의 부진을 떨치고 3개월 만에 플러스로 돌아선 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도체는 1년 전 대비 40.1% 많은 120억 4000만 달러를 수출해 사상 최고치이자 7개월 연속 100억 달러를 넘겼다. 석유화학도 국제유가 상승과 주요국 경기 회복에 따른 전방산업 수요 증가 등으로 63%나 늘어난 48억 4000만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자동차 수출액은 3.3% 증가한 41억 2000만 달러였다. 농수산식품과 화장품 역시 최고치인 9억 9000만 달러와 8억 8000만 달러의 수출 실적을 올렸다.
수출 호조와 달리 대내외 여건은 녹록지 않다. ‘글로벌 공급 차질→원자재값 상승→물가 폭등→금리 인상’이 복합적인 관계를 맺으며 우리 경제에 도미노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글로벌 공급망 차질이 물가 급등을 부추기고, 치솟은 물가는 금리 인상을 압박하며 내수 침체를 불러올 수 있다. 코로나19 델타 변이보다 더 센 오미크론 확산으로 각국이 다시 빗장을 걸면 글로벌 공급망 붕괴가 가속화해 연쇄 파장이 더욱 빠른 속도로 되풀이될 공산이 크다. 우리 경제를 떠받치는 양대 축인 수출과 내수 중 내수가 고꾸라지면 경제는 침체의 늪에 빠질 수밖에 없다. 산업부 관계자는 “11월 수출 실적에는 오미크론 영향이 반영되지 않았다”며 “바이러스 확산이 어떻게 전개될지, 수출 차원에 어떤 영향을 줄지 긴밀히 모니터링하며 대응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1년 전보다 32.1% 증가한 604억 4000만 달러(약 71조 2900억원)를 기록했다. 1956년 무역통계 집계 이래 월 기준 사상 최대 규모로, 9월 월 최고 수출액(559억 2000만 달러)을 두 달 만에 경신하며 13개월째 증가세를 이어 갔다. 2013년 10월 월 수출액 500억 달러를 처음 넘긴 후 8년 1개월 만에 600억 달러대에 진입했다.
수출 신기록 수립은 세계 경기 회복세를 타고 반도체, 석유화학 등 주력 품목과 농수산식품, 화장품 등 신성장 품목이 고루 선전한 덕분이다. 자동차 수출이 그동안의 부진을 떨치고 3개월 만에 플러스로 돌아선 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도체는 1년 전 대비 40.1% 많은 120억 4000만 달러를 수출해 사상 최고치이자 7개월 연속 100억 달러를 넘겼다. 석유화학도 국제유가 상승과 주요국 경기 회복에 따른 전방산업 수요 증가 등으로 63%나 늘어난 48억 4000만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자동차 수출액은 3.3% 증가한 41억 2000만 달러였다. 농수산식품과 화장품 역시 최고치인 9억 9000만 달러와 8억 8000만 달러의 수출 실적을 올렸다.
수출 호조와 달리 대내외 여건은 녹록지 않다. ‘글로벌 공급 차질→원자재값 상승→물가 폭등→금리 인상’이 복합적인 관계를 맺으며 우리 경제에 도미노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글로벌 공급망 차질이 물가 급등을 부추기고, 치솟은 물가는 금리 인상을 압박하며 내수 침체를 불러올 수 있다. 코로나19 델타 변이보다 더 센 오미크론 확산으로 각국이 다시 빗장을 걸면 글로벌 공급망 붕괴가 가속화해 연쇄 파장이 더욱 빠른 속도로 되풀이될 공산이 크다. 우리 경제를 떠받치는 양대 축인 수출과 내수 중 내수가 고꾸라지면 경제는 침체의 늪에 빠질 수밖에 없다. 산업부 관계자는 “11월 수출 실적에는 오미크론 영향이 반영되지 않았다”며 “바이러스 확산이 어떻게 전개될지, 수출 차원에 어떤 영향을 줄지 긴밀히 모니터링하며 대응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