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아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
20대 젊은이들이 후보자 딸의 입시 이력에 분노하는 것을 두고 청년 집단의 역린을 건드렸다는 진단이 나온다. 며칠 새 온라인뿐 아니라 일상의 시민들 상당수가 충격과 분노를 표현하고, 젊은이들과 학부모들 사이에서 더 두드러진다. 인터넷 게시판은 며칠 전까지만 해도 자신들의 워너비였던 인물에 대한 젊은이들의 배신감과 울분으로 가득 차 있다. 오랜만에 만난 10대의 엄마인 필자의 지인은 파랗게 질린 얼굴로 몸을 떨었다. 아직 후보자의 제대로 된 해명을 듣지 못했고 소식 중 일부는 사실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모르지 않지만, 수많은 사람이 충격에 가까운 감정을 느끼는 이유는 무엇일까?
지금의 상황은 단지 입시 부정에 대한 의혹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후보자나 그의 가족에 대한 맹목적인 비난도 아니다. 인신공격에 가까운 몇몇 정치인들의 바람몰이에 편승한 부화뇌동도 아니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렇게 보기에는 시민들의 감정에 합리적인 핵심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관련된 몇 대학에서 촛불집회까지 거론된다는 것은 이 사건이 ‘민주주의의 수호’라는 촛불정신과 맞닿아 있다고 학생들이 느끼고 있음을 보여 준다.
한국사회의 젊은이들에게 입시는 일회적인 사건이 아니다. 특히 대학 입시는 더 그렇다. 강고한 대학서열과 출신대학이 평생 꼬리표처럼 따라다니는 학벌신분사회인 한국에서 아이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아니 어쩌면 어머니 몸속에 잉태된 그날부터 대학입시를 향한 질주를 시작한다. 갓난아기부터 조기교육을 시작하고 모국어를 채 익히기도 전에 영어유치원에서 하루를 보내며 그만한 경제력을 갖지 못한 가정의 아이들은 영어 학습지라도 공부한다. 학교보다 학원에서 공식 교육을 시작하는 한국의 아이들. 13살이 되면 대학 입시를 향해 줄서기를 시작하고, 평범한 일반고를 피해 소수의 학교를 뚫고 들어가야 하는 경쟁 대열에서 학교와 학원을 왕복하는 청소년들. 고등학생이 되는 그날부터 대학 입시를 위해 공부를 뺀 모든 것을 유예하고 보류하고 억제해야 하는 10대들.
물론 학생들이 이런 입시규율체제에서 무조건 순응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학교에 있든 학원에 있든 게임방에 있든 아이들의 마음 한쪽은 무엇인가에 짓눌려 있다. 열심히 공부해서 좋은 대학 가야지. 아이들은 둘로 나뉜다. 학벌체제의 사다리 타기를 선택한 집단과 그것을 포기한 집단. 그러나 두 집단 모두 상처는 남는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의 20대들은 집단적 트라우마, 상흔(傷痕)을 지닌다. 그 상처의 딱지는 그들이 살아온 날들만큼 두껍다.
두둑한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자본을 가진 부모를 만난다면 개인적으로는 행운일 것이다. 그러나 이런 행운은 개인의 노력으로 선택할 수 없기에 다수의 젊은이에게는 특혜가 될 수 있다. 노력하지 않아도 주어지는 것, 특혜가 늘 불법적인 것은 아니다. 그러나 당연한 것도 아니다. 그것은 사회의 상식이라고 할 수 있는 법의 경계 위에 있는 소수의 사람들에게 가능한 것이므로 법보다 훨씬 더 강한 효과를 갖는다.
때문에 ‘불법적인 것은 없다’는 말은 법을 초월해 행사할 수 있는 힘을 가졌다는 메시지로 읽힐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청년들의 분노는 매우 이성적인 것이다. 거칠고 감정적인 온라인의 수많은 언설은 법과 같은 통속적인 규제망을 넘어설 수 있는 보이지 않는 강력한 권력을 고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2019-08-2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