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저 새가 파랑새라고요?/탐조인·수의사

[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저 새가 파랑새라고요?/탐조인·수의사

입력 2022-07-31 20:04
수정 2022-08-01 02: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20. 5. 알 수 없는 사고로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에 구조된 파랑새.
2020. 5. 알 수 없는 사고로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에 구조된 파랑새.
“저 새가 파랑새라고요?”

파랑새를 처음 본 사람들이 갖는 의문이다. 파랑새는 이름은 ‘파랑’새지만 머리는 거의 검은색에 가깝고, 날개는 초록이 섞인 어두운 남색이다. 날개 깃에는 까치의 날개 무늬처럼 광택 있는 진한 남색 털이 있다. 가끔 빛을 잘 받으면 파랗게 보이기도 하지만 대부분 흑청색과 청록색이 섞인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아무리 초록 신호등을 파란불로 배웠던 국민학교 세대라도 새 이름 ‘파랑새’에 의아함을 가지게 된다.

파랑새의 놀라운 점은 이뿐이 아니다. 검은 보석 같은 눈망울과 커다란 선홍색 부리, 청록색 날개의 연한 하늘색 무늬가 어우러져 “정말 깜짝 놀라게 예쁘구나” 하면서 감탄하게 된다. 그 이쁜 모습에 놀라고 있는 중에 파랑새가 소리를 내면 그 시끄러움에 또다시 놀란다. 까치 둥지를 차지하고 번식하는 만큼 까치와의 싸움이 필수인데, 까치보다 덩치는 작지만 까치 저리 가라 할 저 시끄러움이 무기가 아닐까 싶을 정도다. 예전에 야생동물구조센터에서 보호하던 어린 파랑새도 하루 종일 끊임없이 시끄럽게 소리를 냈는데, 그 소리는 마치 압력밥솥 추가 칙칙거리는 소리와 비슷했다.

파랑새는 긴 날개로 바람을 타고 높이 날면서 벌레를 잡아먹는 새다. 하늘 높이 날다 보니 키 큰 나무의 꼭대기나 전봇대의 꼭대기, 높은 전선이나 고압 송전탑의 높은 자리에 앉는 걸 선호한다. 그러니 ‘녹두밭에 앉지 마라’던 그 파랑새는 아마 이 파랑새가 아니고, 밭 주변에서 벌레를 잡아먹곤 하는 머리부터 날개까지 파란 유리딱새일 것이다.

왜 직관적으로 파란 새에게는 ‘유리’라는 이름을 붙이고, 직관적으로 청록색인 새에게 파랑새라는 이름을 줬는지 참 이해가 안 간다. 그러나 화제의 드라마 속 판사 우산의 무늬가 남방돌고래인지, 큰돌고래인지가 우영우 변호사에게만 중요한 일인 것처럼 그건 부르는 사람에게만 신경 쓰이는 일. 중요한 건 그 우산을 통해 판사 마음이 신도시 편일 수 있다는 걸 보여 주는 것이고, 서식지를 보호하고 생태계를 풍부하게 해서 살 만하게 만드는 것이며,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가치를 가진 팽나무를 지키는 일일 것이다.

2022-08-01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