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별아의 세상구경] 살아야 할 이유, 살아남아야 할 이유/소설가

[김별아의 세상구경] 살아야 할 이유, 살아남아야 할 이유/소설가

입력 2023-07-31 02:08
수정 2023-07-31 02: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별아 소설가
김별아 소설가
남도의 고찰(古刹)을 탐방할 때 문화해설사가 마당에 있는 소나무 두 그루를 가리키며 물었다.

“둘 중에 하나는 늙어 죽어 가고 있는데, 어느 나무인 것 같나요?”

둘 다 겉보기에는 푸르고 정정한데, 차이라면 솔방울이 하나에는 가지가 휘어져라 열려 있고 다른 하나에는 여느 나무처럼 듬성듬성하게 달린 것이었다. 출제자의 의도를 읽자면 솔방울의 무게를 못 이겨 휘늘어진 나무가 수명을 다해 가고 있는 것일 터인데, 일행의 다수가 눈속임에 넘어가 드문드문 솔방울을 매단 나무를 고르는 것도 이상치 않았다.

“삼사백 년을 살고도 떠날 날이 다가오니 저리 씨앗을 맺네요, 징하게도.”

문화해설사는 사위어 가는 생명이 그러잡은 번식의 본능을 ‘징하다’(징그럽다)고 표현했다. 하지만 나는 그것이야말로 세상 모든 숨탄것의 본질, 생명의 도저한 명령이라고 생각했다. 삼사백 살 소나무나 하루살이나 동일하다. 무릇 생명에게 살아가는 목적이나 이유 같은 건 없다. 삶 그 자체가 목적이자 이유일 뿐이다. 사는 동안 번식해 자손을 남기고 유한한 삶을 영원으로 잇는 것이다.

인간도 마찬가지다. 아무리 삶이 고단하고 괴로워도, 아니 고단하고 괴로울수록 고찰의 와송처럼 필사적으로 솔방울들을 맺게 마련이다. 전쟁 같은 극한 상황에서도 아이들이 송이송이 태어나는 일을 단순한 욕망으로 설명할 수 없는 까닭도 거기에 있다.

그러하기에 더욱 기이하다. 대한민국은 전쟁의 폐허 위에서 가장 단기간 내에 성장했다가 어쩌면 역사에 없었던 황금시대를 맞아 스스로 멸절을 선택한 나라가 됐다. 이같이 괴괴망측한 상황의 원인에 대해 각계에서 다각도로 분석하고 있으나, 불민한 나의 해석은 결국 이 나라 사람들이 행복하지 않기를 넘어 불행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냥 불행한 것만도 아니고 내 불행에 갇힌 채로 빈약한 상상력을 발휘해 복수하듯 남의 삶을 재단하고 단언한다. “그런 환경에서 키울 바에야 차라리 낳지 마세요.”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자신의 본능을 부정하는 것만으로도 모자라 특유의 오지랖으로 타인의 멸절을 부추기는 조언을 빙자한 저주들이 넘친다. 얼마간 논리의 비약을 감수하고 말하자면 출산 절벽은 왕왕 뉴스거리가 되는 비속 살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태어난 혹은 태어나지 않은 아이를 자기 소유물로 여겨 그의 행불행을 함부로 추측하고 재단하는 것이다. 현재의 불행을 미래에 투사하며, 덜 불행하기에 급급해 더 행복해질 기회마저 포기한다.

인구 절벽이 불가역적이고 백방이 무소용이란다. 그렇다면 차라리 미래에 대한 근심으로 헛심을 빼는 대신 지금 여기서 행복해지는 방법부터 찾는 것은 어떠한가. 이제 겨우 국회의 문턱을 넘은 출생통보제를 보호출산제와 함께 정착시켜 아이와 엄마가 다 같이 안전한 조건을 만드는 것도 현재의 행복을 위하는 일이다. “희망이 있어서 아이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희망을 만들기 위해 아이가 태어난다”고 쓴 적이 있다. 미래를 설계할 만큼 충분히 행복하지 못한 것은 유감이다. 그러나 당신이 낳지 않은 아이들의 불행에 대한 당신의 예감은 틀렸을 수 있다. “살아 있는 모든 것은 행복하라”는 ‘숫타니파타’의 말씀을 우리는 오래된 절 마당에서 시들어 가는 저 소나무만큼도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2023-07-31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