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윤혁 정치부 기자
5년에 한 번씩 우리는 대통령을 뽑는다. 아이는 ‘왜 뽑아요’라고 묻겠지. ‘이재명은 뽑는 게 아니라 심는 거’라는 탈모 공약 이야기를 해 줄 순 없으니, 그건 우리 중에 가장 나은 사람을 찾기 위해서라고 답한다.
아이는 또 ‘왜 나은 사람이에요’라고 묻는다. 그건 선거를 통해서 도장을 더 많이 받은 후보가 더 나은 사람이라고 답한다. 아이는 ‘왜 도장을 더 많이 받아요’라고 묻는다. 그건 상대 후보보다 더 잘하겠다고 공약을 내놓기 때문이라고 답한다.
아이는 역시 ‘왜 공약이에요’라고 묻는다. 그건 많은 사람들한테 약속을 하고 그걸 지키겠다고 하는 거라고 답한다. 아이는 또 ‘왜 약속을 해요’라고 묻는다. 그건 이전 사람들이 약속을 잘 지키지 않아서 이번엔 반드시 지키겠다고 하는 거라고 답한다.
아이는 골똘히 생각하다가 ‘왜 반드시 지켜요’라고 묻는다.
‘뫼비우스의 띠’처럼 이어지는 아이의 물음에 모두 답할 순 없지만, 대선후보들이 꼭 답해야 하는 것도 있다. 왜 청년인가? ‘청년이 미래’라는 여야 후보의 비전보다 당선을 위해 청년표가 필요하다는 선거전략이 먼저 떠오른다.
왜 여성가족부 폐지인가? 여가부 폐지가 왜 정부 부처 개편 논의 중 최우선 순위에 올랐는지, 젠더 갈등과 페미니즘 논쟁이 이번 대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아이에게 설명해 줄 요량은 부족하다. 다만, 이게 당선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모양이라는 답뿐이다.
선거에서 이기면 모든 게 답이 되는 대선 정국이다. 인물, 구도, 조직이라는 전통적 판세를 분석하며 인물은 누가 더 낫고 정권교체 구도는 누구에게 유리하며 조직 대결은 어떻게 벌어질 거란 선대위 개편론이 들끓는다.
그러나 투표용지는 그 모든 물음에 관계없이 기호, 정당명, 성명만 들어갈 뿐이다. 번호가 좋아서, 정당이 좋아서, 그 사람이 좋아서 셋 중 하나인 선택이다. 투표는 감정적 선택인 경우도 많아서 논리적 판단과는 무관하기도 하다.
극빈층이 극우보수정당에 투표하는 것처럼 개인적 이익에 반하는 투표가 이뤄지거나 강남좌파가 진보정당에 투표하듯이 신념투표에 나서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기는 것 그 자체가 선거의 목표가 된다면 아이에게 무엇이라 설명해야 할까. 아이는 오늘도 ‘왜’라고 묻고 있다.
2022-01-1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