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대륙 시인’ 이용악/박록삼 논설위원

[씨줄날줄] ‘대륙 시인’ 이용악/박록삼 논설위원

박록삼 기자
입력 2019-08-25 23:10
수정 2019-08-26 02: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무쇠다리를 건너온 함경도 사내”는 “노래도 자욱도 없이 사라질”(시 ‘전라도 가시내’ 중) 운명은 결코 아니었다. 함경북도 두만강 근처에서 태어난 이용악(1914~1971)은 1930~1940년대 한국 문단에서 서정주(1915~2000) 등과 함께 두세 손가락에 꼽힐 만큼 뛰어난 시재(詩才)를 드러낸 이였다. 하지만 ‘월북 작가’라는 꼬리표 탓에 소수의 문학연구자 아닌, 대중에게는 완벽한 미지의 존재였다. 그리고 1988년 해금되며 존재를 드러내자마자 오장환, 백석, 정지용 등과 함께 한국 시의 지평을 확 넓혔다.

반도에 갇혀 있던 시의 공간을 북방 대륙으로 넓혔고, 정주(定住) 아닌 이주(移住)의 삶의 기억이 우리 민족의 DNA 어딘가에 박혀 있음을 확인시켰다. 무엇보다 이야기를 담아내는 그릇으로서 시(詩)가 얼마나 적합한 장르인지 보여 줬다. 민족의 역사와 민중 개인의 삶이 씨줄날줄로 얽혀 만들어진 유장한 서사는 사랑과 이별 타령의 서정시를 시의 전부로 알고 자라던 세대에게는 충격이 될 수밖에 없었다. 많은 수험생들에게는 괴로울 일이었겠지만, 학력고사, 수능시험, 임용고시 등의 단골 출제 시인으로 자리잡기도 했다.

그의 시집 ‘낡은 집’(1938), ‘오랑캐꽃’(1947) 등을 보면 우리 시의 대상 공간은 한반도 남쪽 끝에서 만주 벌판에 이르기까지 확장된다. 시를 배우는 이에게도, 공부하는 이에게도 일종의 파천황적 경험이었다. 일제강점기 나라를 빼앗긴, 그러면서도 가난하디가난한 민중의 삶의 계급적 필연성 또한 빽빽한 밀도의 서사에 담았다. 뿐만 아니다. 모더니즘 시인으로 출발한 이답게 손에 잡힐 듯 세밀하면서도 아름다운 시어, 토속적 언어들이 서사의 미학 완성도를 더욱 높였다. “털보네는 또 아들을 봤다우/ 송아지래두 붙었으면 팔아나 먹지”(시 ‘낡은 집’ 중)처럼 민족의 해체, 나라의 부재는 필연적으로 민중의 가난과 가족의 해체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80년이 흐른 지금 읽어도 전혀 손색이 없는 기품 있는 정서들이다.

그럼에도 안타깝지만 그를 오롯이 기억하고 그의 문학세계를 계승하려는 노력은 부족했다. 문학상이 홍수를 이룰 정도로 난무하는 시대지만 그의 이름을 딴 문학상은 아예 없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에서 출신, 연고 등을 내세워 문학상을 만드는 것이 정석과도 같은 방식이기에 남쪽 땅에 연고가 없는 이용악은 여기저기 떠도는 노마드 시인이 될 운명이었다. 고맙게도 최근 이용악의 이름을 딴 문학상이 만들어졌다. 시종합문예지 ‘문학청춘’이 ‘이용악문학상’을 제정하고, 첫 수상자로 시인 김영승(60)을 선정했다. 부디 문학상을 통해 이용악이, 그리고 그의 시가 기려지고 이어지길 바랄 따름이다.

youngtan@seoul.co.kr
2019-08-2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