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예외 제외하면 접종자는 잘 지낼 것”
앤서니 파우치 미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
AFP 연합뉴스
다만 백신을 접종받은 사람들은 오미크론에 노출되더라도 대부분 별탈 없이 잘 지낼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접종자는 오미크론에 큰 타격 받을 것”파우치 소장은 이날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행사에서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느냐는 질문에 “특출하고 전례 없는 전염 효율성을 가진 오미크론이 궁극적으로 거의 모든 사람을 찾아갈 것”이라고 말했다고 CNN방송이 보도했다.
파우치 소장은 “백신을 맞은 사람, 그리고 백신을 맞고 부스터샷(추가접종)까지 맞은 사람도 (오미크론에) 노출될 것”이라며 “이들 중 일부, 어쩌면 많은 이가 감염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일부 예외를 제외하면 입원을 하거나 사망까진 이르지 않는다는 면에서 상당히 잘 지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그러나 “불행히도 여전히 백신을 맞지 않은 사람은 오미크론 변이가 지닌 심각한 특성에 타격을 가장 크게 받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파우치 소장의 이러한 발언은 강력한 전염성과 폭발적인 유행 때문에 거의 모든 사람이 오미크론 변이에 한번쯤은 노출될 수밖에 없고, 이들 중 일부는 감염될 것이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파우치 소장은 “무엇보다도 심각한 질환을 일으키는 전염의 수준을 충분히 낮춰서 우리가 이 전염병을 끌어안을 수 있게 하는 것, 즉 공존하는 법을 배우자는 것에 아마도 접근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오미크론이 부침하는 가운데 공동체에 충분한 보호막과 충분한 약이 있어서 고위험군이 감염됐을 때 치료하기 매우 쉬운 상황이 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재닛 우드콕 미 식품의약국(FDA) 국장대행도 비슷한 견해를 나타냈다.
우드콕 국장대행은 이날 상원 청문회에 출석해 현재 상황을 보면 대부분의 사람이 코로나19에 걸릴 것 같다면서 이제 초점은 병원과 필수 서비스가 작동하도록 하는 것에 맞춰져야 한다고 말했다.
우드콕 국장대행은 미국의 코로나19 전략을 바꿀 때가 됐느냐는 질의에 “지금은 이 변이가 우리 국민을 휩쓰는 가운데 우리가 병원과 다른 필수 서비스가 계속 가동되게 하는 데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는 “지금 당장 벌어지고 있는 일이 뭔지 파악하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그건 바로 ‘대부분의 사람이 코로나19에 걸린다’는 것”이라며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이게 진행되는 동안 병원이 계속 작동하고 교통이나 다른 필수 서비스가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우드콕 국장대행은 “그다음이 우리가 이 팬데믹에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지 재평가할 좋은 시간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오미크론, 미·영서 곧 정점 찍고 약화할 것”오미크론 변이 확산이 미국과 영국에서 곧 정점을 찍고 약화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다.
오미크론 변이가 너무 폭발적으로 확산하면서 바이러스가 더 감염시킬 사람이 없어지는 형국이라는 분석이다.
이날 AP통신에 따르면 미국 워싱턴대 연구팀은 모델 분석을 통해 미국 내 하루 신규확진이 오는 19일 120만명으로 최대치를 기록한 뒤 급감할 것으로 예측했다.
분석을 주도한 알리 모카다드 워싱턴대 교수는 “감염될 수 있는 사람이 모조리 감염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구 약 3억 3500만명의 미국에서는 최근 1주일 동안 하루 평균 신규확진이 73만 8000명씩 쏟아졌다.
워싱턴대는 공식 통계에 잡히지 않는 미검사자들까지 포함해 더 복잡하게 계산할 때 미국 내 하루 신규확진이 이미 지난 6일 정점인 600만명을 지났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영국은 미국보다 빨리 공식 통계에서도 확진자 감소세가 눈에 띄고 있다.
인구가 6700만명가량인 영국에서 하루 평균 신규확진은 이달 초 20만명까지 치솟았다가 지난주 14만명 정도로 집계됐다.
케빈 매콘웨이 전 영국 오픈대학 응용통계학 교수는 일부 지역에서 확산세가 이어지지만 런던은 이미 정점을 찍었다고 진단했다.
미국과 영국 과학자들은 오미크론 변이가 지난 11월 말 보고 뒤 한 달 만에 정점을 찍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선례도 같은 추세로 주목한다.
확산세 줄더라도 폭증에 따른 의료체계 부담 위험그러나 확진자 폭증에 따른 위험성을 속단하지 말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미국과 영국은 감염자 급증에 따른 중환자 증가로 의료체계에 부담이 가중돼 공중보건 위기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AP통신은 확산세가 정점에 이르고 꺾이더라도 환자, 의료체계가 몇 주, 몇 달 동안 겪을 수밖에 없는 어려움이 여전히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팬데믹→엔데믹 속단 일러…방심 금물”다만 미국과 영국에서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할 대로 확산해 감염 자체가 줄어들더라도 전 세계적 차원의 대유행이 종식되는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나온다.
헤이먼 교수는 전 세계의 모든 나라가 코로나19를 순치하는 과정을 겪기 전까지 팬데믹 종식은 선언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캐서린 스몰우드 세계보건기구(WHO) 유럽지부 선임비상계획관은 “코로나19를 엔데믹(국지적 전염병)으로 판정하기엔 여전히 멀었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19가 엔데믹처럼 활동하기 전에 엔데믹이 된 것처럼 대하는 행위를 자제하라”고 각국 정부에 촉구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