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화사한 동양화 보셨나요?

이런 화사한 동양화 보셨나요?

입력 2012-12-08 00:00
수정 2012-12-08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박상미 작가 22일까지 이화익갤러리서 ‘scene-場面’전

최근 결혼하자마자 아이까지 낳았다니까, 작업하는 것에 대해 전폭적으로 이해해주는 남편이라 좋다 하니까, 그래서 2년간에 걸친 작업을 힘내서 마무리 잘 했다니까, 결국 질문은 여러번 도돌이표를 찍을 수밖에 없다. 왜 하필 무채색이냐고. 답변도 도돌이표다. “글쎄요. 저에겐 그게 무한한 가능성 같은 거예요.”

이미지 확대
ego-my plant
ego-my plant


이미지 확대
breeding ground-germinate
breeding ground-germinate


●색이 화려해 그림만 봐선 얼른 감이 안와

22일까지 서울 종로구 송현동 이화익갤러리에서 ‘scene-場面’전을 여는 박상미(36) 작가의 작품은 약간 의외인 구석이 있다. 동양화를 공부했고 동양화적인 작업 방식을 고수하지만 그림만 봐서는 얼른 감이 오지 않는다. 색들이 화려하다. 유화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두꺼운 느낌도 상당하다. 물감을 쌓아 올려 붓놀림이 느껴지는 곳이 아주 많다. 동양화의 상징이랄 수 있는 먹은 숲, 그늘, 잔디 같은 곳에 쓰이긴 하지만 배경처리된 느낌이 강하다. 주연이기보다는 조연처럼 멀찍이 뒤로 물러난 느낌이다.

동양화 공부한 여성작가가 동양화이긴 한데 화려한 그림을 그렸다면, 당연히 뭔가 화려한 색채에다가 주제를 넣었을 법한데, 작가가 자신을 투영한 대상은 무채색, 그러니까 화려한 색의 건물들이 아니라 검고 회색톤의 식물들이라 했다. “학교 막 졸업했을 때 내가 너무 초라한 것처럼 느껴졌을 때가 있었다.”는데 그때 “아스팔트 틈 사이로 돋아난 식물을 보고 용기를 얻었다.”고 설명했다. 없는 것만 같은데 실은 생생하게 살아내고 있었다는 것, 그게 용기를 주는 요소였다.

●“아스팔트 틈새로 돋아난 식물 보고 용기 얻어”

그러면 그걸 왜 마치 시들어 죽은 것처럼 보이게 무채색으로 칠했을까. 그러고 보니 이런저런 건물이 가득한 풍경은 아무래도 화려한 건물색 때문에 식물들이 가리워지니 그렇다 치더라도, 식물을 주 대상으로 그린 그림들은 약간 특이하다. 정말 동양화(?)스러운 식물 줄기들이 화면을 가득 채우고 있는 ‘에고, 마이 플랜트’(Ego, my plant) 같은 작품에서 식물은 무채색에 걸맞지 않을 정도로 무성하고 탄력이 넘친다. ‘신, 스테어 어라운드Ⅰ’(Scene - stare aroundⅠ)에서도 식물 자체는 무채색이고 작고 초라해 보이는데, 벽과 바닥에 드리워진 그림자는 어디 100년 묵어 풍성한 가지를 자랑하는 나무처럼 짙은 녹음을 풍긴다. “부각되지 않는 식물”, 그럼에도 “무성함을 꿈꾸는 식물”, “다른 색을 입히는 데 가장 바탕이 되는 무채색의 식물”이라는 작가의 설명이 겹쳐지는 부분이다. 작가는 한 술 더 떠 “식물이 자신의 가장 화려한 색깔을 주변에 나눠줬다고 봐줘도 좋다.”고까지 했다.

●분채를 이용해 일일이 손으로 만들어낸 색

그래서일까. 역시 처음 눈길을 탁 잡아채는 것은 건물들의 화려한 색깔들. 더구나 복잡하다기보다 건물이라 직선으로 분할한 공간에다 색을 올렸기 때문에 화려한 덩어리감이 상당하다. 몇몇 작품은 너무 화사해서 기분이 좋아질 정도다. 이 색들은 단청에 쓰이는 분채를 이용해 작가가 일일이 손으로 만들어낸 색이다. 전통 기법을 쓰기 때문에 화려하면서도 번쩍이지 않고 고운 느낌이다.

아, 의외인 것은 하나 더 있다. 이런 작품을 그리는 작가니까 예쁜 식물들 고이 모아 잘 기를 것만 같은데 정작 자기가 손만 대면 다 죽는단다. 지난 2006년 한국미술대전 한국화 부문에서 대상을 받은 신예작가다. (02)730-7817.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2-12-08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