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길언 장편 ‘꿈은 누가 꾸는가’
거상 김만덕과 얽힌 이야기는 넘쳐난다. 천한 관기의 신분에서 벗어나 객사를 열고 무역으로 큰 돈을 벌고, 흉년으로 굶주린 주민을 위해 식량을 내놓아 생명을 구한 파란만장한 삶은 어떤 얘기로 풀어도 매력적이다. 국내의 한 도서사이트에서 ‘김만덕’을 검색하면 모두 26건의 소설과 아동도서, 시, 에세이가 떠오를 정도다.제주 토박이인 현길언(72) 평화의문화연구소장이 쓴 장편소설 ‘꿈은 누가 꾸는가?!’(물레 펴냄)’는 닫힌 섬의 전설을 오롯이 작품에 녹여 냈다. 작가가 그동안 제주 설화에 관심을 갖고 많은 논문과 작품을 발표해 왔기에 가능한 일이다.
소설 속 설화는 다름 아닌 ‘날개 달린 아기장수’. 겨드랑이에 날개를 달고 태어난 아기는 훗날 역적이 될 것이란 권력자의 믿음 때문에 날개가 꺾여 버리고 만다. 설화의 배경에는 ‘큰 나라의 풍수사인 고종달이 제주의 지맥을 끊어 버려 제주에서는 뛰어난 인물이 날 수 없다.’는 제주 사람들의 비통함이 담겨 있다.
설화의 결말은 비극이지만, 소설은 제주의 패배 의식을 되돌려 놓는다. 작가는 김만덕의 옛 연인인 가공 인물 정득영을 내세운다. 정득영은 겨드랑이에 날개를 달고 태어난 비범한 능력의 소유자이지만 토착 세력에 항거하다가 역적의 누명을 쓰고 수장당한다. 그가 죽는 날 많은 사람이 보는 앞에서 하늘로 무지개 사다리가 놓인다. 그 자리에는 암초인 ‘여’(嶼)가 생긴다. 제주 사람들은 이를 ‘장수 여’라 부르며 그들의 꿈을 키운다.
죽은 정득영은 옛 연인 김만덕 주변에 머물며 못다한 꿈을 이뤄간다. 장수 여 이야기는 제주 민중이 품고 살던 염원의 산물이다. 백성을 괴롭히던 중간 관리들의 횡포와 합법을 가장한 각종 수탈 등이 사실적으로 묘사된다. 이를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의 부조리와 짝지으며 진정한 꿈을 꿀 수 없는 상황을 개탄한다. 김만덕이 새로운 섬을 찾아 떠나는 마지막 장면에서 독자들이 깊은 한숨을 내쉬는 이유다. 작가는 “작품을 쓰면서 제주의 설화에 왜 그리 꿈과 억압, 폭력이 복잡하게 얽혔는지를 깨달았다.”고 말했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2-12-08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