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미래 교육의 대안, 객관식 평가 말고 IB

미래 교육의 대안, 객관식 평가 말고 IB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9-07-18 18:06
업데이트 2019-07-19 01: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IB를 말한다/이혜정, 이범 외 지음/창비교육/324쪽/1만 7000원

이미지 확대
우리나라 대학 입시제도에는 크게 3개 전형이 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내신,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이다. 이 가운데 수능과 내신은 객관식 시험이다. 대학이 일제고사식 객관식 시험을 평가요소로 적극적으로 활용해 신입생을 선발하는 나라는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와 일본밖에 없다. 미국도 객관식 대입 시험인 SAT, ACT를 치른다고 반박할지 모른다. 그러나 1년에 6~7회 치를 수 있다는 점에서, 내신 평가는 객관식으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르다.

우리나라는 가히 ‘객관식 시험 신봉 국가’라 할 만하다. 객관식 시험으로 줄세우기 내신을 부여하는 현 교육이 좋은 인재를 길러낼 수 있을까. 모두 고개를 가로저을 것이다. 그래서 ‘학종’으로 눈을 돌리지만, 이마저도 여의찮다. 학종은 부모의 지원에 따라 격차가 크고, 학교에선 공부 잘하는 학생을 밀어주는 경향이 뚜렷하다. ‘금수저 전형’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객관식 시험을 맹신하던 일본에서 10년 계획으로 변화의 깃발을 올렸다. 바로 ‘인터내셔널 바칼로레아’(IB)다. IB 인증학교를 내년까지 200개교로 확대하겠다는 기치 아래 교육을 착착 바꿔나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몇 개 학교가 이를 도입했다. 제주·대구교육청은 4월 “공교육에 IB를 도입하겠다”고 발표했다.

IB를 제대로 알고 싶다면 신간 ‘IB를 말한다’를 적극 추천한다. 차츰 확대되는 IB에 관한 확실한 설명서다. 객관식 시험 타도를 외치는 이혜정 서울대 연구교수를 필두로, 교육 전문가 이범을 비롯해 각 교육청에서 IB 프로젝트를 진행한 이들이 모여 썼다. 국제기구 직원이나 외교관 자녀 등 외국에서 지내야 하는 아이들에게 질 좋은 교육을 제공하자는 취지로 스위스 민간 비영리 재단이 1968년 시작한 IB의 역사는 물론, 전 세계 유명대학에서 시행하는 이유와 그 효과가 담겼다. 특히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의 이식 과정을 설명하고 문제가 없는지 따진다. 전 과목 논·서술 시험에, 절대평가가 가능할지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객관식 시험이야말로 공정하다”는 허상, “제도는 좋지만, IB 도입이 가능하겠느냐”는 질문에 실제 사례들로 답한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9-07-19 3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