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그립습니다” 하늘로 떠난 10만개의 빛

“그립습니다” 하늘로 떠난 10만개의 빛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20-05-28 18:14
업데이트 2020-05-28 19: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코로나 첫 사망자 발생 ‘111일 만의 비극’… 트럼프는 추모 메시지 없이 “대처 빨랐다”

이미지 확대
미국의 코로나19 사망자가 27일(현지시간) 10만명을 넘어선 가운데 워싱턴포스트가 5월 28일자 1면 지면에 구현한 추모 그래픽. 레이저 불빛으로 주별 사망자 규모를 보여 주고 있다. 이 매체는 2개면을 할애해 희생자들의 사진과 사연을 소개하기도 했다. 워싱턴포스트 홈피 캡처
미국의 코로나19 사망자가 27일(현지시간) 10만명을 넘어선 가운데 워싱턴포스트가 5월 28일자 1면 지면에 구현한 추모 그래픽. 레이저 불빛으로 주별 사망자 규모를 보여 주고 있다. 이 매체는 2개면을 할애해 희생자들의 사진과 사연을 소개하기도 했다.
워싱턴포스트 홈피 캡처
미국의 코로나19 사망자수가 10만명을 넘어섰다. 반세기 만에 벌어진 충격적 사태에 미국 전역이 충격에 빠져 애도를 표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추모 메시지 없이 자신의 대처가 매우 빨랐으며 경제 재개의 속도를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뉴욕타임스(NYT)는 27일(현지시간) “첫 코로나19 사망자가 발생한 지 4개월도 안 돼 사망자수가 10만명을 넘었다”고 보도했다.

실제 존스홉킨스대 통계(한국시간 28일 오후 3시 기준)에 따르면 미국 내 사망자는 10만 442명으로 전 세계 사망자(35만 5688명)의 28.2%였다. 코로나19 확진자도 169만 9933명으로 전 세계 확진자(569만 5155명)의 29.8%를 차지했다.
이미지 확대
●1968년 A형 독감 이후 첫 10만명 숨져

미국 사망자수는 지난 2월 6일 캘리포니아주에서 첫 사망자가 나온 뒤 111일 만에 10만명을 넘었다. 하루 평균 904명이 세상을 떠난 셈이다. NYT는 한국전쟁·베트남전쟁의 미군 사망자수보다 많은 규모로, 1968년 A형 독감 바이러스(H3N2)로 10만명이 숨진 이후 52년 만에 벌어진 비극이라고 전했다. 1957년 신형 A형 독감 바이러스(H2N2)의 희생자수(11만 6000명)에도 근접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온라인판에 사망자들을 하늘로 향하는 빛으로 구현해 희생자를 추모했다. 며칠 전 NYT도 1000명의 희생자 이름 등을 빼곡히 적어 추모한 바 있다. 언론들은 코로나19로 사회분열이 심해졌다고 진단했다. WP는 “사망자 중 50세 이상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흑인은 미국 인구의 13.4%지만 코로나19 사망자 중 거의 60%를 차지했다”며 “화이트칼라가 재택근무를 하는 동안 육류공장 근로자들은 감염됐듯, 소득에 따라 감염률이 달랐다”고 전했다. 희생자들은 화상을 이용하거나 유리벽을 사이에 두고 가족과 마지막 작별 인사를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스페이스X의 유인우주선 발사를 보기 위해 플로리다주 케네디 우주센터에 갔지만 기상 악화로 발사가 30일로 연기돼 발걸음을 돌렸다. 이날 별다른 희생자 추모는 없었고 트위터에 “(좌파 미디어가) 트럼프의 코로나19 대응이 늦었다고 퍼뜨리려 한다”며 “틀렸다. 매우 빨랐다. 누구도 필요성을 생각하기 전에 중국(입국)을 막았다”고 했다. 또 “코로나19 검사가 1500만명을 넘었다. 안전하게 열라”며 경제 재개를 촉구했다.

●바이든 “일주일만 먼저 대응했다면…”

반면 민주당 대선 후보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은 이날 올린 영상에서 “이것은 우리가 일주일만 먼저 행동했다면 결코 도달하지 못했을 숙명 같은 이정표”라고 표현했다. 이는 지난주 나온 컬럼비아대 연구를 언급한 것인데, 미 행정부가 3월 15일이 아닌 3월 8일에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을 내렸다면 3만 6000명의 사망자를 줄일 수 있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가 전날 자신의 글에 ‘사실 확인이 필요하다’는 경고 문구를 표기한 데 대해 이날 트윗에서 “공화당원들은 소셜미디어가 보수주의자의 목소리는 완전히 침묵시킨다고 느낀다”며 “우리는 강하게 규제할 것이고, 아니면 문을 닫게 할 것”이라고 반격에 나섰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20-05-29 14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