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2030 세대] 절망에 익숙해지는 법/한승혜 주부

[2030 세대] 절망에 익숙해지는 법/한승혜 주부

입력 2020-09-24 17:34
업데이트 2020-09-25 01: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승혜 주부
한승혜 주부
“오빠는 아침 먹고 학교 가잖아! 난 아침 먹고 맨날 콩순이만 보고!”

한 달 넘게 등원하지 못한 둘째가 드디어 폭발해서는 어린이집에 가고 싶다고 울며불며 떼를 썼다. 그간 나름 잘 참는다고 생각했건만. 비록 3주에 한 번이지만 잠깐씩 학교를 다녀오는 제 오빠를 보니 서러움이 터져나왔나 보다. 작년까지는 아침마다 가기 싫다고 야단이었는데.

그런 둘째를 붙들고 다시 한 번 차근차근 이야기했다. 바이러스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이제는 전과 다르다고. 어린이집에 다시 가게 될 수도 있지만 언제인지는 알 수 없다고. 그래도 이제는 익숙해져야 한다고. 그리고 그 말을 들은 둘째는 어리둥절한 표정으로 물었다. “어떻게 익숙해져?”

순간 머리가 ‘딩’ 하고 울리는 듯했다. 그러게, 어떻게 익숙해지지? 팬데믹이 장기화되면서 전문가들이 더이상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앞으로는 코로나바이러스와 함께하는 ‘뉴노멀’에 적응해야만 한다는 이야기를 하는데, 그리하여 나 역시 아이에게 그런 이야기를 해주기는 했는데, 곰곰이 생각해 보니 도통 방법을 모르겠는 것이다.

마스크를 상시 착용하는 것, 개인위생을 신경 쓰는 것, 사람이 붐비는 장소는 되도록 피하는 것, 가능한 한 집에 머무는 것, 미래가 어떻게 될지 몰라 늘 불안에 떨며 지내는 것, 팬데믹 와중에 스러지는 사회 곳곳의 연약한 이들을 보며 매번 절망하는 것, 이런 것들에 익숙해지는 방법에 대해서 말이다.

손이야 자주 씻으면 좋은 일이고, 마스크도 이젠 거의 의복의 일부처럼 느껴지고, ‘사람을 피해야만 하는 생활’ 역시 지금은 힘들어도 어떻게든 적응하게 되는 날이 올는지 모른다. 그러나 뒤의 두 개는 도저히 어찌해야 좋을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떻게 해야 절망과 불안에 익숙해질 수 있단 말인가.

잠시 딴청을 피우다 아이를 달래 평소 좋아하던 그림 그리기 활동을 하기로 했다. 팬데믹 동안 부쩍 자란 둘째는 손이 제법 여물어서 이제는 꽤나 그림다운 그림을 그린다. 그래 봤자 동그라미 세모 네모 수준이기는 하지만. 하여간 잠깐 동안 진지한 표정으로 무언가를 그리던 아이가 엄마라며 보여 주었는데, 보자마자 웃음이 터져 나왔다. 쭈그러진 도형에 이목구비는 제멋대로 붙어 있는 얼굴 비스무리한 것이 야무지게도 마스크는 챙겨 쓰고 있었던 것이다. 감탄하며 웃다 보니 왠지 기분이 조금 나아졌다. 아이도 기분이 좋아진 듯했다.

아무리 생각해도 불안이나 절망에 익숙해지는 방법은 잘 모르겠다. 어쩌면 없을지도 모른다. 매번 새롭게 불안하고 절망스럽다. 하지만 그럴 때마다 내가 택하는 방법 중 하나는, 그 순간 할 수 있는 일로 돌아가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할 수 있는 일을 하는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랑과 웃음을 잃지 않으려 노력하는 것. 그러다 보면, 끝내 절망과 불안에는 익숙해지지 못한다 할지라도 그에 맞설 용기와 희망을 얻을 수 있을지 모른다.
2020-09-25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