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고] 미래차 성패, 부품 경쟁력에 달렸다/허남용 한국자동차연구원장

[기고] 미래차 성패, 부품 경쟁력에 달렸다/허남용 한국자동차연구원장

입력 2021-06-22 20:18
업데이트 2021-06-23 01: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허남용 한국자동차연구원장
허남용 한국자동차연구원장
독일의 공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벤츠는 1886년 ‘페이턴트 모터바겐’을 특허 등록했다. 삼륜 간이마차에 1기통 954㏄ 가솔린 엔진을 얹은 세계 최초의 자동차였다. 최고출력 0.75마력, 최고속력 시속 16㎞로 비록 말(馬)보다 힘도 속도도 부족했지만 ‘말 없이 달리는 마차를 만들겠다’는 인류의 꿈이 실현된 순간이었다.

자동차는 인류 최고의 발명품이다. 자동차의 탄생으로 인류는 공간의 제약에서 자유로워졌다. 단순한 ‘이동’에 허비하던 에너지를 생산적이고 창의적인 분야에 쓸 수 있게 됐고, 이는 곧 혁신의 원동력이 됐다.

최근 자동차산업이 대전환기를 맞고 있다. 이른바 ‘모빌리티 혁신’이다. 내연기관에서 친환경 동력으로, 소유에서 공유로, 지상에서 공중으로 자동차에 대한 패러다임이 바뀌면서 ‘모빌리티’라는 새로운 생태계가 태동하고 있다. 이런 흐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면 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다. 자동차산업 근간인 부품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일이 중요하다. 부품산업은 지난해 제조업 전체 생산량의 6.5%, 전체 수출량의 3.6% 비중을 차지했다. 하지만 세계 5위 자동차 생산국인 한국에 세계 100대 부품기업이 단 8곳뿐인 현실은 취약한 경쟁력을 방증한다. 더욱이 전기·수소차, 자율주행차, 개인비행체(PAV) 등 미래 모빌리티 분야 핵심 부품의 해외의존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중국 등 경쟁국과의 기술격차도 갈수록 좁혀지고 있다.

문제는 국내 부품업계 자력으로 모빌리티 대전환기 대응 전략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완성차 중심의 수직적 산업구조와 정보의 비대칭 심화로 부품사가 독자적으로 사업을 펼치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 한국이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하려면 부품업계의 뼈를 깎는 혁신과 더불어 차ㆍ부품업계의 수평적 협업과 비전 공유, 그리고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이 시급하다.

위기의 다른 이름은 기회다. 수직적·폐쇄적 구조로 굳어진 자동차산업 생태계를 자율과 상호 협력 중심의 구조로 바꿔 나가야 한다. 중국 춘추시대 역사서 국어에 ‘중지성성’(衆志成城)이란 말이 있다. ‘여러 사람의 뜻이 하나로 뭉치면 견고한 성을 이룬다’는 뜻으로 힘을 합치면 못할 일이 없다는 의미다. 산·학·연·관이 힘을 합쳐 ‘미래 모빌리티 경쟁력 1등 국가’로 도약하길 기대한다.

2021-06-23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