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귀농의 꿈 심고, 자유의 쉼 얻고, 농사의 맛 보다[포토다큐]

귀농의 꿈 심고, 자유의 쉼 얻고, 농사의 맛 보다[포토다큐]

안주영 기자
안주영 기자
입력 2022-05-24 20:52
업데이트 2022-05-25 02: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북 완주 귀농귀촌지원센터 팜투어 현장

센터 입구 귀농의 집 현판 앞에서 귀농귀촌자, 1년 살기 체험 가족, 팜투어 참가자와 센터 관계자들이 함께 완주를 홍보하는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센터 입구 귀농의 집 현판 앞에서 귀농귀촌자, 1년 살기 체험 가족, 팜투어 참가자와 센터 관계자들이 함께 완주를 홍보하는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은퇴를 앞두거나 바쁜 일상에 지친 도시인들은 한 번쯤 시골로 내려가 작은 텃밭을 가꾸면서 경제적으로는 여유롭지 않아도 조금 천천히 살아볼까 하는 생각을 한다. 귀농귀촌에 대한 막연한 희망이다.
이미지 확대
피·땀·눈물로 일구는 작은 텃밭…
피·땀·눈물로 일구는 작은 텃밭… 공동 텃밭 내 각자 배정받은 구역에 가족 이름과 파종한 농작물 및 날짜가 적힌 팻말이 아기자기하게 설치돼 있다.
이미지 확대
어떤 농작물 키워야 할까…
어떤 농작물 키워야 할까… 팜투어 참가자들이 농가 탐방으로 고산 금원농장을 방문해 무화과 작물을 살펴보고 있다.
이미지 확대
손품·발품 들이는 예비 농군…
손품·발품 들이는 예비 농군… 1년 살기 체험자들이 센터 내 텃밭에서 유기농 농사 준비를 위해 제초매트 고정 작업을 하고 있다.
●정년 앞두고 귀촌 체험 먼저… 농가 방문부터 가공공장까지

지난달 킨텍스에서 열린 귀농귀촌 박람회장에선 전북 완주군 부스에 유독 많은 사람이 몰렸다. 완주군 귀농귀촌지원센터에서 지난 10일부터 진행된 3박 4일 팜투어 현장을 찾았다. 첫날은 15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정책 설명과 귀농 사례자 발표, 농가 방문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둘째 날에는 정착에 든든한 비빌 언덕이 돼 주는 로컬푸드 가공공장과 판매장을 방문해 멘토와의 만남 및 딸기 따기 체험 등을 했다.

투어에 참여한 김형갑(58)씨는 익산에서 공무원으로 재직 중이며 정년을 3년 앞두고 있다. 은퇴 후 100~200평 땅에 집을 짓고 텃밭을 일구는 로망을 꿈꾸며 참가했다고 한다. 정용준(51) 귀농귀촌지원센터장은 “맛보기 과정”이라며 “너무 막연하게 생각만 하기보다 일단 짧은 훑어보기 과정을 통해 완주의 맛을 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체로 장기 1년 과정에 들어오는 사람들의 30%가량은 이 맛보기 과정인 귀농귀촌 팜투어를 통해 지원한다고 한다.
이미지 확대
팜투어 참가자들이 농가 탐방으로 고산 금원농장을 방문해 당일 수확한 양배추와 무를 만져 보며 농장주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팜투어 참가자들이 농가 탐방으로 고산 금원농장을 방문해 당일 수확한 양배추와 무를 만져 보며 농장주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이미지 확대
전북 완주군 구이 로컬푸드 가공센터 전경.
전북 완주군 구이 로컬푸드 가공센터 전경.
이미지 확대
지난달 킨텍스에서 열린 귀농귀촌 박람회장을 찾은 관람객들이 완주군 홍보 부스에서 상담을 받고 있다.
지난달 킨텍스에서 열린 귀농귀촌 박람회장을 찾은 관람객들이 완주군 홍보 부스에서 상담을 받고 있다.
이미지 확대
2019년 1년 완주 살기 체험을 하고 2021년 4월 완주군 귀농귀촌팀의 비닐하우스 200평을 지원받아 현재 그라스팜(허브)농장을 운영 중인 이현희(44)씨가 작물을 돌보고 있다.
2019년 1년 완주 살기 체험을 하고 2021년 4월 완주군 귀농귀촌팀의 비닐하우스 200평을 지원받아 현재 그라스팜(허브)농장을 운영 중인 이현희(44)씨가 작물을 돌보고 있다.
이미지 확대
팜투어 귀농 사례 발표자 진남현씨가 센터에 도착해 차에서 내리고 있다.
팜투어 귀농 사례 발표자 진남현씨가 센터에 도착해 차에서 내리고 있다.
완주군은 귀농귀촌 게스트 하우스, 인턴십 정책인 청년 멘토제와 매년 11월쯤 1년 장기 체류형 농업 창업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3월에 입주해 각자 주어진 텃밭에서 농사도 지어 보고 지역 주민과 어울리다 보면 저렴하고 좋은 농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고 한다. 대한민국 최초 로컬푸드 정책과 가공센터는 예비 귀농자의 마음을 사로잡기에 충분했다. 다양한 마을공동체 활동을 통해 시골에서 꼭 농사만이 아니라 다른 재미있는 일을 하며 살아갈 수 있어 이곳을 가족과 함께 살아갈 삶의 터전으로 선택하는 사례가 많다고 한다.

●청년 인턴십·농업창업대출 지원도… “살아 보지 않고 알 수 없어”

2016년 서울에서 귀농한 90년대생 청년 진남현(34)씨는 대학 4학년 때 100만원을 들고 이곳에 내려왔다. 청년 인턴십과 삼례 지역 문화해설사, 캠프 스태프로 활동하면서 일정 소득을 창출하고 2017년 농업창업자금 대출로 전화도 잘 안 터지는 고산면 너멍골에 농지를 구입해 토종 작물을 유기농으로 재배하며 살고 있다. 그는 “자유가 좋아 이 길을 선택했지만 자유는 비싸다”면서 “혼자서 짓는 농사는 쉬운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요즘은 인터넷으로 못 찾을 것이 없다지만 귀농만은 예외다. 각 지역의 실상이 어떤지 알아야 제대로 된 결정을 할 텐데 그건 살아보지 않고는 알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누구나 농촌에서의 여유로운 삶을 꿈꾸지만 막상 현실에 옮기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여러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귀농귀촌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체험해 보고 자신에게 맞는 제2의 인생 설계를 해야 하는 이유다.

글·사진 안주영 전문기자
2022-05-25 19면

많이 본 뉴스

22대 국회에 바라는 것은?
선거 뒤 국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관심 가져야 할 사안은 무엇일까요.
경기 활성화
복지정책 강화
사회 갈등 완화
의료 공백 해결
정치 개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