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감축 움직임
중국 빠른 성장세…중·러만 점유율 증가
재생에너지 중국 장악 우려 높아
미국은 2020년 원전 발전량 점유율 30.9%로 세계 1위 자리를 유지했지만 2015년에 비해 점유율은 1.8%p 하락했다. 한국의 점유율은 5년 전 대비 0.4%p 떨어진 6.0%로 세계 5위를 그대로 유지했다. 점유율 하락 폭이 가장 큰 나라는 3.9%p 하락한 프랑스로 집계됐다.
태양광 발전의 경우 밸류체인(가치사슬) 상에서 중국 기업의 독점 현상이 두드러졌다.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축의 필수 부자재인 잉곳과 웨이퍼는 중국이 글로벌 시장의 95%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풍력 발전 분야에서는 지난해 풍력 발전용 터빈 제조사 글로벌 상위 10개 기업 중 6곳이 중국 기업으로 확인됐다.
전경련 관계자는 “대대적인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중국의 재생 에너지 산업이 급성장했다”며 “국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투자세액 공제 비율 향상 등 기업 지원정책 개정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 세계 주요 원전 국가 발전량 점유율 현황
수소 밸류체인은 크게 생산, 운송·저장, 활용 분야로 구분된다. 생산 분야에서는 일본과 독일, 운송·저장 분야에서는 프랑스와 미국, 활용 분야에서는 미국(발전용 연료전지), 일본(가정·건물용 연료전지), 한국(발전용 연료전지)이 강점을 보이고 있다.
박성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