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경복궁에서 디제잉 파티… 한복 덕후들의 한복 사랑 한마당

경복궁에서 디제잉 파티… 한복 덕후들의 한복 사랑 한마당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2-10-01 22:01
업데이트 2022-10-01 22: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한복생활’의 국가무형문화재 지정을 기념해 1일 경복궁 흥복전에서 열린 행사에서 참가자들이 일어서서 춤을 추고 있다. 류재민 기자
‘한복생활’의 국가무형문화재 지정을 기념해 1일 경복궁 흥복전에서 열린 행사에서 참가자들이 일어서서 춤을 추고 있다. 류재민 기자
지난 7월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한복생활’을 기념하기 위해 한복 덕후들의 한복 사랑 한마당이 경복궁에서 열렸다.

문화재청과 한국문화재재단은 ‘한복생활’의 지정 의의를 알리기 위해 1일 오후 3시 경복궁 흥복전 일원에서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최응천 문화재청장, 이형호 한국한복진흥원장, 김태훈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장, 김소현 배화여대 교수와 한복을 아끼는 많은 이가 참가해 한복생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문경새재아리랑보존회의 ‘다듬이아리랑’ 공연이 선보인 후 내빈들의 인사가 이어졌다. 이후 ‘나의 한복생활’을 주제로 최 청장과 김 교수, 한복활동가로 이름을 알린 권미루 작가, 덕성여대 ‘꽃신을 신고’ 이승하 회장, 패션을 전공하는 고등학생 김태리 양이 참가한 토론회가 열렸다.
이미지 확대
한복생활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는 참가자들. 문화재청 제공
한복생활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는 참가자들. 문화재청 제공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종목은 한복 자체가 아니라 ‘한복생활’이다. 이름 그대로 한복을 입고 생활하는 것에 방점이 찍혀 있다. 김 교수는 “우리 민족 정체성과 가치가 아주 잘 담긴 생활양식과 전통지식을 품고 있는 한복생활은 박제된 유물이 아니라 오늘을 사는 우리가 향유하면서 문화를 만들어가는 데 더 큰 가치가 있다”면서 ‘한복생활’의 지정 의의에 대해 설명했다.

과거 생활복이었던 한복은 이제는 특별한 날에 입는 옷이 됐다. 그러나 이날 토론 참가자들의 한복에 대한 욕심은 보통의 날까지 확장됐다.

한복을 입고 세계여행을 했던 권 작가는 “외국인들이 의외의 장소에서 대단한 옷을 만났다는 반응이었다”면서 “나는 여행에 편한 옷을 입고 왔다고 생각했는데 사람들은 드레스를 입고 왔다고 하더라”고 말했다. 권 작가는 여행을 위해 전통 한복뿐만 아니라 생활한복 등 다양하게 입을 수 있는 한복을 활용했다고 밝혔다.
경복궁 흥복전에 설치된 한복 입은 인형들. 류재민 기자
경복궁 흥복전에 설치된 한복 입은 인형들. 류재민 기자
5명의 토론자들은 저마다 한복에 대한 애착을 드러냈다. 최 청장은 “K컬처의 원동력”으로 한복을 정의하며 참가자들의 호응을 이끌어냈다. ‘한복생활’ 4행시를 지은 김 교수는 “국인의 멋진 옷, 짓는 우리 옷, 생하게, 력을 찾아갈 겁니다”라고 말해 박수를 받았다.

MZ세대를 대표하는 이 회장은 “한복문화가 발전해 한복파티도 이색축제가 아닌 축제가 될 수 있도록 쉽게 즐길 수 있는 옷이 됐으면 좋겠다”고 소망했다. 김 양은 “한복은 다른 전통에서 볼 수 없는 색감과 고고한 느낌이 있어 소중하다”고 애정을 드러냈다.

토론이 끝난 후엔 DJ의 음악에 따라 한복을 입은 참가자들이 춤을 추는 특별한 시간도 진행됐다. 젊은 참가자들은 눈치를 보지 않고 한복을 입은 채 흥을 발산했고, 많은 외국인이 이들을 관심 있게 지켜보는 진풍경을 연출했다.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