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잇따라 발견되는 고려청자, 어떻게 현대로 왔을까? [클로저]

잇따라 발견되는 고려청자, 어떻게 현대로 왔을까? [클로저]

강민혜 기자
입력 2022-11-24 16:43
업데이트 2022-11-24 16: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만금신공항 건설사업 대상지 중 한 곳인 수라 갯벌에서는 지난 6월, 시민단체에 의해 다수의 고려청자가 발굴됐습니다. 문화재청은 문화재가 맞다고 판단했죠. 이 같은 발굴 과정을 담은 영화 ‘수라’가 다음달 공개를 앞두고 있기도 합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고려청자 발굴은 한 가지 양상을 띄고 있습니다. 상기에 서술한 사례처럼, 무더기로 발견된다는 점입니다. 24일 클로저 코너에서는 최근 발굴됐던 고려청자 사례를 통해 이들이 어떻게 오늘날 우리의 손에 들어오게 됐는지 알아봅니다. [편집자주]
수라 갯벌에서 지난 6~7월 발굴한 청자.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 관계자 제공.
수라 갯벌에서 지난 6~7월 발굴한 청자.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 관계자 제공.
고려청자 하면 떠오르는 옥색의 도자기, 이 같은 형태의 디자인이 자리잡은 것은 지난 10세기 후반부터로 추정됩니다. 이보다 앞서 중국에서 수입한 청자를 사용하긴 했지만, 도공들이 우리만의 노력으로 질그릇이 아닌 청자를 만든 시기는 이 때로 보고 있죠. 불교가 국교였던 고려 시절, 청자에 관련 무늬를 그려 넣어 만들면 극락에 갈 수 있다고 여겼기에 인기도 높았습니다. 이후 13세기 후반까지 높은 인기를 자랑했습니다.

우리 손에 들어온 청자들도 이 때의 것으로, 최근 수라 갯벌에서 발견했던 청자는 12~14세기의 것입니다. 수라 갯벌 지역은 1991년 착수 후 새만금 방조제가 건설되기 전에도 조간대 지역이라 물이 빠지면 쉽게 접근할 수 있어 맨손 어업이 성행했던 곳입니다.

● 무더기 발견 아닌 소량 발견
조간대, 이 위치의 난파선 유물로 보기 부적절

학계는 청자가 발견되는 위치에 따라 묻혔던 원인을 추정하고는 하는데요. 이날 국립해양문화재 연구소 관계자에 따르면, 이 청자들은 새만금 간척 사업으로 인해 퇴적되었다가 지금 발견됐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난파선으로 인해 묻혔던 것으로 보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위치이므로, 대규모의 공사를 하면서 흘러간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입니다. 조간대에 있고, 육지로부터 2~3㎞ 걸어가면 수라 갯벌이 나오므로, 오랜 시간 그 장소에 있었다고 보는 것보다 추후 현대로 들어와 공사를 하면서 밀려갔을 가능성이 있다는 겁니다.

조간대 해역은 물이 빠져야 육지가 노출되는 곳이죠. 주민들이 계속해서 맨손어업을 할 정도로 오갔던 지역인데 과거에는 청자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 새만금 방조제 건설 과정에서
바다에서 안으로 밀려들어갔을 가능성

그러나 새만금 방조제 밖에서 모래를 안으로 넣은 후 청자가 발견된 시점으로 미뤄볼 때, 바닷가에서 밀려들어갔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입니다.

옛 사람들도 난파선에서 쓸 만한 물건들을 수집하곤 했으니, 고려청자가 난파선 안에 그대로 있다가 이제서야 나왔을 가능성은 적다는 시선이죠. 조간대에 있던 선박에서는 유물을 발견하기 힘들다는 겁니다.

또한, 한 시대의 유물이 아닌 여러 시기의 유물이 나온 점도 이 같은 주장에 신빙성을 더합니다.

● 거친 바다, 난파선 그대로
태안 고려청자 보물, 내일부터 전시

그런가 하면 사람이 접근하기 거친 바다에 묻혔던 탓에 침몰선에 그대로 있다 발굴된 사례도 있습니다.

오는 25일부터 일반에 다시 전시하는 12~13세기의 고려청자입니다. 이들은 태안 앞바다에서 발굴한 유물 중 보물로 지정한 것입니다.

대개 유물을 발굴하면 탈염 처리 후 조사, 보관 처리를 거쳐 전시를 합니다. 이번 전시에 나오는 보물은 네 건으로, 목포·태안에 분산해 관리하던 것을 모은 기획전입니다.

태안은 고려청자의 본거지인 강진을 거쳐 개경으로 가는 고창, 정읍을 따라 가는 길목에 있는 거친 바다가 있는 곳으로, 과거의 난파선들이 바닷 속에 많습니다.

이 때문에 발굴량이 늘어나자 태안에 전시관 태안해양유물전시관을 새로 꾸리기도 했습니다.

● 고군산도 해역도 난파선 유물
태안처럼 무더기 발견…화물로 봐야

이보다 한참 멀리 떨어져 북쪽에 있는 고군산군도 해역에서도 지난해 12월 난파선에서 수중 유적을 확인했습니다.

고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이곳에서 고려청자 125점, 분청사기 9점, 백자 49점, 닻돌 3점 등 200점 가량의 유물을 발견했습니다.

이 곳에서는 81점의 청자발과 접시가 다발로 포개진 선적 화물형태로 발굴됐습니다.

이 같이 최근에 발견된 고려청자들은 대규모 형태로 나오곤 합니다. 이날 국립해양문화재 연구소의 또다른 관계자에 따르면, 이 같은 현상은 화물 형태로 무역을 위해 옮겨지던 청자들이 물에 빠졌기 때문입니다.

● 발견 근원지 무관하게 현재 발견한 곳 중요
유물 묻혀있을 가능성, 현장 지켜야

그런가 하면 발견 근원지에 대한 추측을 떠나 청자가 발굴된 지역은 지켜야 한다는 시선도 있습니다.

새만금신공항백지화공동행동은 앞서 수라 갯벌에서 청자를 발견한 단체입니다. 이들은 “새만금 신공항 개발로 인해 사라질지 모를 새만금 수라 갯벌의 자연경관을 보호하고 연안생태계의 공익적 가치를 보호하고자 만들어진 연대 조직이다”라고 자신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새만금 지역은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면에서 중요한 곳으로 해저 유물이 자주 발견되는 곳이다. 단순히 매립과 준설로 사라져서는 안 될 곳이다”라고 주장했습니다.
강민혜 기자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