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전체메뉴닫기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
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서울신문 네이버채널

광고안보이기
전체메뉴 열기/닫기검색
서울신문 ci

LG전자, 보안 유출 우려에 챗GPT 차단...‘엘지니’에 기업용 챗GPT 오픈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입력 :ㅣ 수정 : 2023-05-26 16:12 경제 섹션 목록 확대 축소 인쇄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 사용에 따른 기업 보안 유출 우려가 커지면서 LG전자가 사내망을 통한 생성한 AI 서비스 접속을 차단한다.
서울 여의도 LG그룹 트윈타워 전경. 연합뉴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서울 여의도 LG그룹 트윈타워 전경. 연합뉴스

26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이날 임직원에게 보낸 이메일을 통해 이달 말부터 업무포털에 제공되는 사내 챗봇서비스 ‘엘지니’에 기업용 챗GPT를 오픈한다고 공지했다. 사내망을 통한 챗GPT, 바드, 빙AI 등의 대화형 AI서비스 접속은 차단된다.

그간 LG전자는 “회사와 고객 정보를 담은 내용을 챗 GPT에 입력하지 말라”는 내용의 보안 지침을 임직원에게 강조해왔다. LG전자는 이번 기업용 챗GPT 도입을 통해 사내 보안을 더 강화할 방침이다.

앞서 삼성전자도 이달부터 디바이스경험(DX) 부문 임직원을 대상으로 사내 PC를 통한 생성형 AI 사용을 일시 제한한다고 공지한 바 있다.

삼성전자는 정보 유출 우려가 큰 기존의 생성형 AI 사용은 제한하면서, 자체 AI 도구를 개발하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AI 모델을 활용해 번역이나 문서 요약, 소프트웨어 개발 지원 등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준비해 보안상 안전한 환경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박성국 기자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네이버채널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발행)일자 : 2015.04.20 l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l 사이트맵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l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