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아침 ‘메멘토 모리’ 란에 난소암과 사투 끝에 지난 12일(현지시간) 남편과 18개월 딸을 남기고 세상을 떠난 미국 여성 캐시 매킨타이어(38)의 애틋한 사연을 전했다. 비교적 짧은 영국 BBC 기사를 옮기면서 ‘100배 효과’를 이해하는 데 적잖이 애를 먹었다.
출판사 펭귄 랜덤하우스에서 일했던 뉴욕 여성 매킨타이어는 세상을 떠나는 마지막 순간에도 자신의 삶을 밝게 빛나게 만들고 싶다며 병마와 싸우는 이들의 의료 빚을 탕감하는 일을 돕고 싶다고 했다. 그의 숭고한 뜻에 공감하는 이들의 성의가 답지해 18일까지 17만 달러가 모였다고 방송은 전했다.
그런데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매킨타이어의 호소에 감동한 이들의 성의가 빠르게 늘어 20일까지 41만 9000 달러(약 5억 4000만원)가 쌓였다고 전했다. 이틀 만에 1.5배가 불어난 셈이다.
“여러분이 이 글을 본다면 저는 이미 세상을 떠났을 거에요. 저는 진심으로 여러분 모두를 한 명씩 사랑했고, 제가 얼마나 사랑받는지도 알고 있답니다.”
이 단체에 따르면 기부금 1달러로 의료 빚을 매입하면 대략 100배에 이르는 100달러가 탕감되는 효과가 생긴다. 특히 매킨타이어처럼 사후에 기부 캠페인이 시작된 것은 처음이라며 놀라워했다.
앤드루 그레고리는 모금 열기에 “매우 놀랐다”면서 “너무나 벅찬 기분이 든다. 낯선 이들의 의료 부채를 탕감해주기를 바라는 사람들의 반응을 보는 일이 매우 강렬했다”고 말했다. 이어 “케이시의 훌륭하고 행복한 삶이 이런 방식으로 이어지는 걸 볼 수 있다는 것이 너무나 아름답다”고 흔감해 했다.
임병선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