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북자 CCTV에 찍히고 경보도 울렸는데… 22사단, 또 경계 실패

월북자 CCTV에 찍히고 경보도 울렸는데… 22사단, 또 경계 실패

문경근 기자
문경근 기자
입력 2022-01-02 20:22
수정 2022-01-03 0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새해 벽두부터 최전방 ‘철책 월북’

초동조치 부대, 지휘부에 미보고
해당 GP는 9·19합의로 병력 철수
‘노크·오리발 귀순’ 이어 다시 구멍
상급부대 8군단 해체 차질 불가피
北, 월북자에게 과격 대응 가능성

이미지 확대
지난 1일 우리 국민으로 추정되는 월북자가 일반전초(GOP) 철책을 넘어 비무장지대(DMZ)를 3시간가량 활보한 뒤 북측으로 넘어가는 상황이 발생했다. 특히 폐쇄회로(CC)TV나 광망(철조망 감시센서) 경보 등 ‘과학화 경계시스템’의 정상 작동으로 월책 순간을 두 번이나 포착하고도 느슨한 경계태세와 허술한 초동조치로 월북을 놓쳐 명백한 ‘인재’라는 지적이 나온다.

2일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군 당국이 월북 사실을 처음 인지한 건 전날 오후 9시 20분쯤 열상감시장비(TOD)로 DMZ에 있던 월북자를 포착하면서다. 뒤늦게 작전 병력을 투입했지만 신병 확보에 실패했다.

군은 월북자가 철책을 넘은 뒤 3시간이 다 되도록 알지도 못했다. 월북자가 DMZ에서 포착된 이후에야 전에 찍힌 CCTV를 다시 돌려봤고, 앞서 오후 6시 40분쯤 월책 장면이 찍힌 사실을 뒤늦게 확인했다. CCTV 감시병이 포착 당시 인지하지 못했다는 게 합참의 설명이다.

철책에 설치된 광망 경보도 ‘정상 작동’했다. 광망은 사람이나 동물이 철책을 넘거나 절단할 때 경보음이 울려 즉각적인 경계병력 투입이 이뤄지도록 한다. 합참 관계자는 “당시 광망 경보가 울려 초동조치 병력이 철책으로 갔지만 ‘이상 없다’고 보고한 뒤 철수했다”고 말했다. 심지어 초동조치 부대는 지휘부에 보고하지도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월북자가 통과한 감시초소(GP)에 경계 근무자가 있었다면 검거가 가능했을 것이란 지적도 있다. 해당 GP는 2018년 4월 판문점 선언과 9·19 남북 군사합의로 병력이 철수한 곳이다.

사건이 발생한 22사단은 전군에서 유일하게 전방경계와 해안경계를 동시에 맡고 있는 부대다. 강원도의 험준한 산악 지형과 긴 해안을 모두 지킨다. 지형적 영향으로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어 ‘별(장군)들의 무덤’으로도 불린다. 지난해 2월 북한 남성이 헤엄쳐 남하한 뒤 철책을 뚫고 월남했던 ‘오리발 귀순’ 사건이 벌어졌다. 2020년 11월에는 북한 남성이 최전방 철책을 넘은 지 14시간여 만에 기동수색팀에 발견됐다. 2012년 10월에는 북한군 병사가 군 초소 문을 두드려 귀순 의사를 표시한 일명 ‘노크 귀순’이 있었다.

군 당국은 지난해 8군단과 22사단에 대한 정밀점검 결과 경계시스템 노후화로 경계 실패가 발생했다고 보고 조치했지만, 이번에는 경계시스템이 멀쩡한데도 유사 사건이 일어나면서 책임론이 확산할 가능성도 있다. 합참 관계자는 “감시병이 인지하지 못한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면서 “현장에서 더 적극적인 조치가 있었다면 좋았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초동조치 부실을 인정했다. 합참은 전비태세검열실 요원들을 현장에 급파해 경위를 조사 중이다.

코로나19 유입을 차단하고자 국경을 엄격하게 통제하고 있는 북측이 월북자에게 과격한 대응을 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북한군은 2020년 9월 서해 소연평도 인근 해상에서 실종된 40대 남한 공무원을 북측 해역에서 발견하고 총살했는데, 당시 북측은 ‘국가 비상 방역 규정’에 따른 조치라고 주장한 바 있다.

한편 22사단 상급부대인 8군단 해체 계획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는 8군단을 내년 중·후반까지 해체하고, 22사단 등은 3군단으로 흡수·통합할 계획이다. 장군 감축 및 현역병 자원 감소에 따른 조치다. 8군단 해체 계획은 당초 지난해 말로 예정돼 있었지만, ‘오리발 귀순’을 계기로 한 차례 연기된 바 있다.

2022-01-03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