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센터에서 한 시민이 화이자 백신을 접종 받고 있다. 2021.8.23 뉴스1
모더나 “올해 가을을 목표로 개발 중”
정부 “변이백신 개발시 도입키로 협약”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한 글로벌 제약사들이 오미크론 변이 맞춤형 백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오미크론 변이가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퍼지면서 확진자 수가 급증하는 데 따른 것이다. 우리 정부도 별도의 추가 협약 없이 도입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화이자 최고경영자는 11일(한국시간) CNBC 방송 인터뷰에서 “3월이면 준비될 것입니다. 필요한지, 어떻게 사용될지는 모르지만 준비는 될 것입니다”라며 오미크론 변이를 겨냥한 백신이 곧 준비된다고 말했다.
그는 “일부 수량은 위험을 무릅쓰고(at risk) 생산 중”이라고 덧붙였다.
스테판 방셀 모더나 CEO도 같은 날 오전 인터뷰에서 “올해 가을을 목표로 오미크론을 겨냥한 백신을 개발 중”이라며 “곧 임상시험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미크론 확산 속 텅 빈 영국 런던 술집 야외석
영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새 변이인 오미크론이 급속히 확산하는 가운데 21일(현지시간) 런던 코번트 가든 인근의 한 술집 야외 테이블이 텅 비어 있다. 2021.12.22 AFP 연합뉴스
영국 데이터에 따르면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을 2차까지 투여한 후 20주가 지나면 오미크론 감염 예방 효과가 1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경우에도 중증 질환을 예방해주는 효과는 있다고 CNBC는 전했다.
다만 오미크론이 폭발적 확산세를 보이고 있지만, 재닛 우드콕 미국 식품의약국 국장대행은 “현재 백신의 추가 접종으로 오미크론 보호가 충분해 보인다면, 오미크론용 백신은 별 필요 없다”고 말했다.


미국 화이자사의 코로나19 백신.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AP 연합뉴스
박 방역총괄반장은 “mRNA 백신 협약 당시 처음부터 (오미크론과 같은) 변이가 나타날 수 있고, 그에 맞는 백신이 개발되면 도입할 수 있도록 돼 있어 별도로 새롭게 (협약을)한다는 개념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국내에 코로나19 백신을 도입할 당시부터 코로나바이러스의 변이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변이에 맞는 새로운 백신이 개발되면 이를 국내에 도입할 수 있도록 제약사와 협약했다는 이야기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