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는 학생 성적 향상보다 평등·협력·재능발휘 도와야”
지난 23일 4박 5일의 짧은 방한 일정을 마치고 핀란드로 돌아간 에르키 아호(75) 핀란드 전 국가교육청장은 경쟁 일변도의 한국 교육 현실에 많은 시사점을 남겼다. 핀란드 공교육의 핵심 개념인 ‘평등과 협동’을 강조하는 아호 전 청장은 “학교의 역할은 학생들의 성적을 올리는 것이 아니라 평등과 협력을 핵심으로 아이들 각자가 가진 재능을 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개혁은 하루아침에 이뤄질 수는 없는 것”이라면서 “시간이 걸리더라도 모든 관련 당사자들의 충분한 논의를 거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에르키 아호 전 핀란드 국가교육청장이 지난 22일 서울 동작구에 있는 국사봉중학교를 방문, “평등과 협동이 학교개혁의 핵심”이라는 자신의 교육철학과 함께 1970년대 핀란드 교육개혁의 성공사례를 설명하고 있다.
3년마다 치러지는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결과를 통해 객관적으로 입증됐다. 우리나라는 핀란드와 함께 PISA에서 1~2위를 다투지만, 학업성취도는 높은 반면 핀란드와 달리 학생들의 자발성과 지적 흥미는 바닥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아호 전 청장은 “수학, 과학, 모국어, 읽기, 쓰기 등을 테스트하는 PISA가 전체 과목을 포괄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결과 자체로 줄 세워지는 것 또한 문제”라고 지적하면서 “PISA 결과로 한 나라의 교육 능력을 보는 패러다임은 달라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호 전 청장은 학업성취도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학교생활에 있어서 자율성과 협동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최근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불거진 학교폭력과 집단따돌림(왕따) 등 문제해결 역시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소통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논리다. 80%가 넘는 핀란드의 종합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키바 코울루’(Kiva Koulu·좋은 학교) 프로그램이 학생 간 문제 해결의 기본원리를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1년에 총 20시간 필수적으로 진행되는 키바 코울루 수업은 역할극뿐만 아니라 왕따와 관련된 단편영화 감상, 토론·발표 등으로 구성돼 학생들이 직접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꾸몄다. 특히 매 수업이 끝나면 학생들 스스로 키바 규정을 짜 학교 규칙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아호 전 청장은 지난 22일 방한기간 중 서울 동작구의 국사봉중학교를 방문한 자리에서 “학교폭력 문제는 피해학생·가해학생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학교 공동체의 문제이기 때문에 학교 구성원 전체가 함께 나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사봉중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공감·소통을 위한 학생 생활협약’ 만들기 과정을 참관하면서 “핀란드의 학교와 비슷한 방식으로 학생들의 소망이나 아이디어를 직접 규칙에 반영하는 민주주의적 시스템”이라고 평가했다.
국사봉중학교에서는 전교생이 참여해 ‘공감·소통을 위한 학생생활협약’을 만들고 정규 수업에 생활협약을 활용한 과정을 포함, 학생들이 직접 만든 협약을 체득하도록 하고 있다. 각 학급에서 자신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생활협약을 8가지씩 정한 뒤 학년별 공청회, 전교생 총회를 거쳐 최종적으로 학교 전체의 생활협약 8가지를 만들어 가는 식이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포스트잇에 생활협약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담아 전달하기도 하고, 공청회에 참가해 토론하면서 다듬기도 한다. 일부 학생대표만 참여, 규칙을 만들고 나머지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통보하는 기존의 방식과는 다르다. 아호 전 청장은 “아래로부터 올라오는 의견을 통해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협약을 만드는 것이 상당히 흥미롭다.”면서 “학생들의 자율적인 참여로 만들어진 협약은 그 자체로 학생들의 일상생활이 된다.”고 말했다.
국사봉중학교 교사 6명은 팀을 꾸려 각 과목마다 생활협약을 반영한 학습법을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미술시간에는 생활협약의 내용을 주제로 애니메이션이나 포스터를 제작하고, 사회시간에는 쟁점이 되는 부분을 가지고 학생들 간 토론을 하는 방식이다. 학생들이 수업 때 자신들이 스스로 만든 생활규칙을 자연스럽게 체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서다.
윤우현 교사는 “학급별, 학년별, 학교 전체까지 총 세 단계를 거쳐 만들어지는 학생 생활협약은 강제규정이 아니라 상벌까지도 모두 학생들 스스로가 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자연스럽게 생활 민주주의를 가르치는 기회가 된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아호 전 청장은 교육개혁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을 강조했다. 핀란드에서는 종합학교 도입 이후 1972~1975년 해마다 5일씩 교사 연수를 의무화하고 7개 대학에서 교사 양성 기구를 출범시켰다. 성취도 수준이 다른 학생들을 모두 한 교실에서 가르치면서도 각 학생의 수준에 맞게 개별화 교육을 시키는 핀란드 교육에서 교사들의 역할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판단에서였다.
아호 전 청장은 “교육은 배움(Learning)뿐만 아니라 학생에 대한 돌봄(Caring)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면서 “미래에 대한 비전이 있는 교육자들만이 학생들에게 꼭 필요한 교육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다.”고 말했다.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2012-03-27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