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자 중 30년 이상 근속자 0.3%

퇴직자 중 30년 이상 근속자 0.3%

입력 2010-01-10 00:00
업데이트 2010-01-10 11: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평생 직장의 개념이 퇴색하면서 한 직장에서 30년 이상 근무하고 퇴직하는 경우가 한해 퇴직자의 0.3%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세청에 따르면 2008년 기준으로 퇴직소득 원천징수 신고현황을 보면 퇴직자는 256만5천595명이며 전체 퇴직급여액은 19조7천936억원이었다.

 퇴직자는 전년도보다 3.5% 늘었고 퇴직급여액은 8.1% 증가했다.

 퇴직자 중 한 직장에서 30년 이상 근무한 경우는 7천610명으로 전체의 0.3%에 불과했고 근속연수가 20~30년인 퇴직자도 0.6%(1만6천495명)에 그쳤다.

 근속연수가 10~20년인 퇴직자는 2.7%(7만9명),5~10년은 9.6%(24만6천726명)였으며 근속연수가 5년 미만인 퇴직자는 전체의 86.7%(222만4천755명)를 차지했다.

 이 때문에 60세 넘어 퇴직한 인원은 전체의 7.2%(18만3천452명)에 그쳤고 50대 퇴직자도 13.2%(33만9천766명) 수준이었다.

 반면 가장 왕성하게 일할 나이인 40대 퇴직자는 전체의 21.5%(55만2천600명)에 달했고 30대 퇴직자도 32.9%(84만4천533명)였으며 30세 미만에 퇴직한 경우도 25.1%(64만4천281명)였다.

 이처럼 한 직장에서 수십년간 일한 50~60대 퇴직자가 적고 40대 이하 퇴직자가 많은 것은 평생직장의 개념이 퇴색하면서 직장 이동이 많아졌기 때문이라는 게 국세청의 분석이다.

 또 경기 침체에 따른 구조조정으로 명예퇴직이 많이 증가한 것도 하나의 요인으로 꼽힌다.

 그동안 40대 퇴직자는 2005년 38만5천835명에서 2006년 42만6천340명,2007년 48만453명,2008년 55만2천600명으로 증가 폭이 점점 커졌다.

 퇴직 시 퇴직급여,명퇴수당,퇴직연금일시금 등으로 총 5억원이 넘는 퇴직금을 받는 인원은 661명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퇴직금별로 3억~5억원 1천657명,2억~3억원 3천435명,1억~2억원 2만477명,8천만~1억원 1만1천457명,6천만~8천만원 1만9천813명,4천만~6천만원 3만7천47명,2천만~4천만원 9만2천918명,1천만~2천만원 15만8천190명 등이었다.

 퇴직금이 1천만원 이하인 퇴직자는 전체의 86.5%(221만9천940명)로 근속연수가 5년 미만인 퇴직자가 86.7%(222만4천755명)인 것과 비슷하다.

 이번 수치는 연봉제의 도입 등으로 퇴직금을 중간 정산하는 직원이 통계상 퇴직자로 잡히기 때문에 실제 퇴직자와는 조금 차이가 날 수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