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그룹 “올해 매출 50조원 목표”

GS그룹 “올해 매출 50조원 목표”

입력 2010-01-22 00:00
업데이트 2010-01-22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허창수 회장
허창수 회장
허창수 GS 회장은 평소 ‘기본에 충실한 현장이 강한 GS’를 강조한다. 그의 현장 경영론은 올해 그룹의 경영 계획에도 고스란히 녹아 있다. 그 어느 때보다 강한 자신감을 드러내며 ‘공격 투자, 공격 경영’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GS그룹은 올해 2조 3000억원을 투자하고 그룹 출범 후 최대 매출인 50조원을 달성하겠다고 21일 밝혔다. 투자액으로 보면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사상 최대 규모다.

올해 투자는 그룹의 주력 사업인 에너지와 유통, 건설에 역량을 집중한다. GS칼텍스의 제3중질유분해탈황시설 증설과 해외 자원개발 등 에너지 부문에 1조 2000억원, GS리테일 점포를 800여개로 늘리는 등 유통 부문에 9000억원, GS건설의 민자 사회간접자본(SOC) 출자 등에 2000억원이 투입된다.

그룹의 미래를 좌우할 신성장동력을 발굴하는 과제도 적극 주문했다. 허 회장은 “GS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신성장동력의 발굴이며, 이를 위해 그룹과 계열사의 모든 동력을 총가동하자.”고 강조했다. 허 회장은 지난 4일 신년사에서도 “자신감을 갖고 필요한 투자를 제때 집행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올해 경영 계획을 보고받으면서도 “지속가능한 성장 잠재역량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투자로 공격 경영을 하자.”고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GS는 지난해 인수한 GS글로벌을 통해 신사업을 발굴하고 해외사업 역량을 강화하는 등 신성장동력 창출에 전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허 회장은 매월 한 차례씩 계열사 사장단 회의를 주재하며 이를 독려하고 있다.

㈜GS와 GS칼텍스를 주축으로 원유탐사 개발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조력·풍력·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에 진출하기로 했다. GS칼텍스는 가정용 및 상업시설용 연료전지를 개발해 상용화를 추진하고 2차전지인 박막전지 사업, 바이오부탄올 및 바이오 혼합알코올 등 차세대 바이오연료 등도 추진한다. 이밖에 GS리테일의 편의점·슈퍼마켓 점포 확장과 GS숍의 브랜드 경쟁력 및 해외사업 강화 등 유통 부문에 9000억원을 쓴다. GS의 올해 채용 규모는 10%가량(200명) 늘어난 2400명(대졸신입 650명)이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2010-01-22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