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엔 역시 ‘삼겹살’…봄철 수입 급증

황사엔 역시 ‘삼겹살’…봄철 수입 급증

입력 2010-04-13 00:00
업데이트 2010-04-13 13: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수년간 봄철에 삼겹살 수입량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관세청에 따르면 2007년 이후 봄철(3~5월)에 삼겹살 수입량이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봄철 삼겹살 수입량은 2만6천482t으로 겨울철(12~2월.1만9천388t)보다 36.6% 많았다.여름철(6~8월) 수입량은 2만3천950t이었고 가을철(9~11월)은 2만1천442t이었다.

 봄철 삼겹살 수입 비중은 2006년 23.7%에서 2007년 27.1%로 높아진 데 이어 2008년 29.2%,2009년 29.0% 등을 기록했다.

 관세청은 삼겹살이 봄철 황사에 효과가 있다는 인식이 확산하고 축협이 2003년 3월3일을 삼겹살데이로 지정하면서 홍보 효과가 것으로 분석했다.

 봄철 삼겹살 특수는 국내산 소비량 추이보다는 수입산 소비량 추이와 비슷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삼겹살 수입국은 냉동의 경우 지난해 칠레산이 전체의 27%(2만3천28t)로 가장 많고 오스트리아(1만2천489t),네덜란드(1만926t),벨기에(1만289t),프랑스(9천104t) 등의 순이었다.유럽연합(EU) 국가들의 수입량이 전체의 70%를 차지했다.

 냉장 삼겹살은 캐나다산이 전체의 54%를 차지해 1위였다.

 삼겹살을 포함한 돼지고기 전체 수입량은 2005년 27만8천849t,2006년 33만3천35t,2007년 35만6천217t으로 증가하다가 2008년 33만9천990t,2009년 30만8천411t으로 최근 2년간 감소해 삼겹살 수입량 추이와 동일한 모습을 보였다.

 광우병 파동에 따른 돼지고기 대체소비 효과가 사라지면서 예년 수준으로 회귀하는 것으로 관세청은 해석했다.

 또 신종플루, 환율상승, 2008년 말 본격적으로 시행된 음식점 원산지표시제 등도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