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1분기 영업익 5294억

LG전자 1분기 영업익 5294억

입력 2010-04-29 00:00
업데이트 2010-04-29 01: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TV·백색가전 판매 호조

LG전자가 TV와 백색가전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올해 1·4분기에 5294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반면 휴대전화 부문은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부진에 따라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이 20% 가까이 줄었다.

이미지 확대


LG전자는 28일 지난 1분기 자회사와 합산한 연결 기준으로 매출 13조 6998억원, 영업이익 5294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국제회계기준(IFRS)이 적용된 수치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3.72%, 2.62%씩 증가했다. 영업이익률도 3.6%에서 3.7%로 소폭 늘었다. 기존에 적용되던 글로벌 매출 기준으로는 13조 1589억원으로 역대 1분기 가운데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 들어 실적 호조를 주도한 것은 TV. 평판 TV 판매량이 전년 대비 58% 정도 급증한 600만대를 기록, TV를 주력으로 하는 홈엔터테인먼트(HE) 사업 본부 매출이 5조 1563억원으로 20%나 성장했다. 영업이익도 지난해 8억원 손실에서 올해 1820억원 흑자로 돌아섰다.

냉장고와 세탁기 등 백색가전을 주력으로 하는 홈어플라이언스(HA) 부문도 북미와 아시아 지역의 판매 호조로 매출은 8% 늘어난 2조 3809억원, 영업이익은 56% 늘어난 2074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8.7%를 기록, HA 부문에서 사상 처음 8%의 영업이익률을 넘겼다.

LG전자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1분기는 계절적 비수기인 데다 지난해 환율 효과도 사라졌지만 TV와 가전에서 기대 이상의 성과를 냈다.”고 설명했다.

반면 왕년의 ‘효자 상품’ 휴대전화 매출은 19.7% 줄어든 3조 1396억원, 영업이익은 88.9% 감소한 277억원의 저조한 실적을 올렸다. 영업이익률도 6.4%에서 0.9%로 떨어졌다. 판매량은 2710만대로 지난해 1분기보다는 20% 늘었지만 전 분기에 비해서는 20% 감소했다.

이는 세계 휴대전화 시장의 주력으로 등장한 스마트폰에 대한 대응이 늦었기 때문이다. 북미와 유럽 등 스마트폰 중심의 프리미엄 시장에서는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대해 LG전자는 “2분기에는 스마트폰 라인업의 확대로 매출과 수익성 개선이 이뤄지고, 판매량은 1분기 대비 두 자릿수로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0-04-29 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