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안드로이드폰에서도 악성코드 발견

국내 안드로이드폰에서도 악성코드 발견

입력 2010-04-30 00:00
업데이트 2010-04-30 07: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를 탑재한 국내 스마트폰에서도 수십 가지의 악성코드가 발견됐다.

30일 보안업체 쉬프트웍스에 따르면 최근 한 달간 안드로이드폰인 모토로이와 안드로1 사용자 등으로부터 50개 종류의 악성코드가 총 700∼800건가량 신고됐다.

쉬프트웍스는 미래에셋 등의 애플리케이션에 안드로이드용 백신을 탑재했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은 사용자들이 백신을 통해 자신의 휴대전화에서 활동하는 악성코드를 발견한 것이다.

악성코드는 휴대전화 번호 등 개인정보를 수집하거나, 스팸광고를 하는 기능이 주를 이뤘다.

쉬프트웍스 관계자는 “대부분 안드로이드마켓에서 내려받은 게임이나 성인용 콘텐츠로부터 악성코드가 유입된 것으로 파악됐다”면서 “IP 추적 결과 유포지는 미국”이라고 말했다.

쉬프트웍스 측은 아직 사용자들로부터 신고를 받지 않았지만, 실질적으로 이들 악성코드를 통해 개인정보가 유출됐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